베이징 담벼락에… 이육사 선생 ‘작은 제사상’

베이징 담벼락에… 이육사 선생 ‘작은 제사상’

백서연 기자
백서연 기자
입력 2024-01-15 03:03
업데이트 2024-01-15 03: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교민들, 순국 80주기 맞아 행사
주민들이 출입 막아 골목에 차려
지하감옥 리모델링으로 사라져
“이제는 추모행사도 제대로 못 해”

이미지 확대
일제 강점기 대표적인 민족시인이자 독립운동가인 이육사(1904∼1944) 순국 80주기를 앞두고 베이징 교민들이 추모행사를 개최했다. 2024.1.14 연합뉴스
일제 강점기 대표적인 민족시인이자 독립운동가인 이육사(1904∼1944) 순국 80주기를 앞두고 베이징 교민들이 추모행사를 개최했다. 2024.1.14
연합뉴스
‘베이징의 명동’이라 불리는 왕푸징(王府井)에서 1.5㎞가량 떨어진 둥창후퉁(東廠胡同) 28호에 지난 13일 교민 10여명이 모였다. 일제강점기 대표 민족시인이자 독립운동가인 이육사(1904~1944) 순국 80주기를 앞두고 베이징 교민들이 골목 담벼락 아래에서 작은 추모 행사(사진)를 연 것이다.

14일 외신 등에 따르면 참석자들은 북어포와 과일 몇 개, 소주 한 병을 상에 올리고 영하의 추운 날씨에도 숙연한 표정으로 술잔을 올리며 절을 했다. 이육사는 국내 무기 반입 등을 이유로 1943년 가을 경성(지금의 서울)에서 체포된 뒤 베이징으로 압송돼 고문받던 끝에 이듬해 1월 16일 새벽 숨졌다.

추모제가 진행된 둥창후퉁 28호는 일본 헌병대가 지하감옥으로 사용했던 곳이다. 국내 학자들과 이육사 후손들은 일제 헌병들의 시신 인계 장소 등을 고려할 때 이육사가 이곳에서 숨을 거뒀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베이징에 거주하는 교민과 주재원으로 구성된 ‘재중 항일역사기념사업회’는 매년 이맘때 둥창후퉁 28호를 찾아가 추모 행사를 열고 있다. 기념사업회는 이날 주택 내부에서 행사를 진행할 계획이었지만 주민들이 외부인의 출입을 막으면서 골목 담벼락 아래에 작은 제사상을 마련했다고 한다.

한 교민은 “몇 년 전만 해도 감옥으로 활용된 것으로 보이는 지하 공간과 오래된 쇠창살 등이 그대로 남아 있었지만, 지금은 리모델링을 하며 모두 사라졌다”면서 “이제는 추모 행사도 제대로 못 하고 있다”고 아쉬움을 표했다.

1904년 경북 안동에서 태어난 이육사는 1925년 독립운동단체 의열단에 가입했다. 본명은 ‘원록’이다. 1927년 독립운동가 장진홍의 조선은행 대구지점 폭파 사건에 연루돼 대구형무소에서 3년간 옥고를 치렀는데 당시 수인번호 264를 따서 호를 ‘육사’라고 지었다.
백서연 기자
2024-01-15 2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