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총-전교조, 교학사 교과서 등 교육문제 ‘이견’

교총-전교조, 교학사 교과서 등 교육문제 ‘이견’

입력 2013-09-25 00:00
업데이트 2013-09-25 13: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관훈토론회…전교조 해직자 가입 논란에 교총 회장 “현행법 존중해야”

대표적 교원단체인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와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이 교학사 고교 한국사 교과서 논란 등 다양한 교육 문제를 두고 상반된 입장을 나타냈다.


안양옥 교총회장과 김정훈 전교조 위원장은 25일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초대석에서 교학사 교과서, 전교조 법외노조화, 새로운 대입제도 등 다양한 교육문제를 두고 토론했다.

’우편향’ 논란을 빚은 교학사 교과서에 대해서는 안 회장과 김 위원장이 뚜렷한 의견 차이를 드러냈다.

안 회장은 “교학사에서 지적된 오류는 검정합격한 다른 7종의 교과서에도 모두 있다”며 “교육부는 재검정에서 이들 교과서에 나타난 문제를 바로잡고 표준화된 콘텐츠를 만들어 소모적 논쟁을 종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김 위원장은 “교학사는 ‘식민사관’의 관점에서 역사를 기술하고 있다”며 “교학사 교과서의 문제는 다른 7종에 비할 바가 아니며 당장 검정합격을 취소해야 한다”고 반박했다.

전교조의 해직자 가입 문제도 서로 다른 의견을 보였다.

김 위원장은 법외노조를 감수하고라도 해직 조합원을 안고 가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김 위원장은 “법외노조로 가고 싶은 마음은 없지만 다양한 공교육 정상화 활동을 하다가 해직된 조합원의 자격을 박탈할 순 없다”며 “고용노동부의 규약 시정명령을 거부할 것이고 그 결과가 법외노조라면 감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안 회장은 “국가의 특수성 속에서 교원단체의 존립을 갖추는 게 중요하다”며 “법의 문제가 있을 순 있지만 법치주의에 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교조가 다음 달 18, 19일 시행할 예정인 조합 교사들의 연가투쟁에 대해서도 “집단적 행동을 해서는 안 된다”며 “국민적 정서를 고려해야하며 정부와 대립과 갈등을 이루기보다는 시간을 갖고 문제를 푸는 게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안 회장이 전교조 소속 교사의 ‘정치이념 교육’을 문제 삼아 긴장된 분위기가 연출되기도 했다.

안 회장은 김 위원장에게 “소수 전교조 교사가 교실 내에서 정치이념 수업을 하는데 이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하자 김 위원장은 “편향된 정치이념 교육을 한 적도 할 생각도 없다”고 일축했다.

김 위원장은 “다만, 사회수업에서 민주주의, 인권에 대해 가르칠 수밖에 없지 않느냐”며 “그런 수준 이상의 교육은 하지 않으니 신뢰를 하고 지켜봐 달라”고 당부했다.

대입제도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두고는 양측이 공감대를 이뤘다.

안 회장과 김 위원장 모두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난도를 기초학력평가 또는 자격시험 수준으로 낮춰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안 회장은 “고등학교 교육이 대학에 종속되지 않아야 한다”며 “현 정부가 대입에 대해 깊은 고민을 못했다고 평가하나 공청회 등을 통해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이니 좀 더 인내심을 갖고 접근하자”고 제안했다.

김 위원장은 “중기적으로는 수능의 자격고사화, 장기적으로는 수능 폐지로 가야 한다”며 “정부는 근본적 중장기 대책을 논의·정립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