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중국어 등이 영어보다 수학에 유리”

“한국어·중국어 등이 영어보다 수학에 유리”

입력 2014-09-12 00:00
업데이트 2014-09-12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어가 수학을 배우기에는 영어보다 유리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미국 보스턴 노스이스턴대 카렌 푸슨 교수와 텍사스 A&M대 예핑 리 교수의 연구 결과를 인용해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터키어 등이 숫자를 셀 때 영어보다 더 간단한 말을 사용하기 때문에 어린이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다고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연구에 따르면 중국어는 수를 셀 때 9개 단어만 사용하는 반면 영어는 24개 이상의 단어를 사용한다.

사용하는 단어가 많은 만큼 수를 세거나 연산할 때 복잡해진다.

한국어와 일본어는 10가지 단어만 사용하는 데다 숫자 만드는 방식에서 장점이 있다.

십일, 십이 등과 같이 먼저 십을 발음하고 뒤에 나머지 숫자를 붙이는 방식으로, 각 숫자가 놓인 위치에 따라 가치가 달라지는 구조여서 이해가 쉽다.

그러나 영어의 경우 10을 넘어가면 위치에 따른 가치가 명확하지 않다.

예를 들어 17은 세븐틴(seventeen), 71은 세븐티-원(seventy-one)으로 두 경우 모두 세븐이 먼저 발음된다.

영어를 사용하는 어린이들이 두자릿수 덧셈이나 뺄셈을 할 경우에는 혼란을 겪어 실수를 하는 경우가 많다.

푸슨 교수는 “이런 차이가 작은 이슈처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추가로 필요한 정신적 작업은 더 많은 실수를 초래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어린이들이 덧셈이나 뺄셈을 할 때 사용하는 ‘10만들기’ 방법에 중국어가 더 자연스럽다고 덧붙였다.

즉 9+5를 할 경우 9와 1을 먼저 더해 10을 만들고 4를 더하는 방식을 초등학교 1학년때 일반적으로 가르치는 데 영어 사용자에게는 덜 자연스럽다는 것이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미국과 아시아 어린이들의 수학실력 격차를 거론하면서 중국의 교사들과 부모들이 수학 개념을 설명하고 이해시키는 데 더 많은 시간을 보낸다는 연구결과를 소개했다.

고등학교 진학 학생을 기준으로 미국은 65개국 중 30위를 차지한 반면에 한국과 중국이 선두를 형성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