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 못 떼는 학교 영어… 수준·진로 맞춰 체질 개선

입 못 떼는 학교 영어… 수준·진로 맞춰 체질 개선

이제훈 기자
이제훈 기자
입력 2016-03-24 23:36
업데이트 2016-03-25 11: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18년 고1, 입시- 실용 선택 초·중학교는 말하기·듣기 강화

현재 중학교 2학년인 A군은 고등학교에 들어가는 2018년부터 영어 과목을 다양하게 배울 수 있다. 고1에서 공통과목 영어를 이수한 A군이 대학 진학을 결정할 경우 고2~고3 과정에서 ‘영어Ⅰ’ 외에 ‘독해와 작문’ 등으로 심화학습을 거친 뒤 ‘영어권 문화’와 ‘영미문학 읽기’를 배우게 된다.

A군이 진학 대신 취업을 택할 경우 A군이 공부하는 과목은 조금 달라진다. 고1 때 배운 영어를 바탕으로 고2~고3 과정에서 ‘회화’를 배운 뒤 ‘실용영어’와 ‘진로영어’를 배운다. A군이 뛰어난 학습능력을 보여 수월성 교육이 필요할 경우 ‘심화영어Ⅰ’과 ‘심화영어Ⅱ’ 등 더욱 수준 높은 영어교육을 받을 수 있다.

2018년 3월부터 초·중·고교 현장에 적용되는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고교 영어는 A군의 사례와 같이 능력과 진로에 따라 다양한 선택 과목을 제공한다. 대학에 진학하지 않는 학생도 글로벌 시대에 맞게 자유롭게 의사소통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교과 선택권을 확대해 학습 동기를 부여한다는 것이다.

초등학교와 중학교 영어 과목 역시 문제풀이보다는 실생활 의사 소통을 중심으로 변화된다. 평가방법도 교사가 주도적으로 이끌어 가는 문제풀이가 아니라 토론이나 문제해결, 프로젝트 수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학생의 참여도를 중심으로 평가하게 된다.

교육부 관계자는 “개정 교육과정의 영어 분야는 학습량과 난이도를 조절해 실생활에서 영어로 의사소통이 가능한 영어교육을 구현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며 “이에 따라 교육부는 우선 영어 의사소통 능력 강화를 위해 학습량을 조정하고 영어를 사용해 의사소통을 하는 회화 중심의 활동을 강조하도록 구성했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특히 언어 및 학생들의 신체발달 등을 고려해 귀와 입이 트이는 영어교육을 구현하도록 교육 과정을 만들었다. 초·중학교에서는 ‘듣기’와 ‘말하기’ 중심의 영어교육을 강조하고 고교에서는 ‘읽기’와 ‘쓰기’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틀이 갖춰졌다.

의사소통 중심의 교육과 함께 평가방법도 개선해 교사가 주도적으로 이끌어 가는 문제풀이식 수업을 지양하고 학생 활동 및 참여수업으로 바꾼다. 예를 들어 토론이나 문제해결, 프로젝트 수업 등 내용과 연계된 다양한 수업 방법이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

대구 영남중학교의 김병식 영어 교사는 24일 “평가방법이 결과가 아닌 수업에 참여하는 과정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바뀌는 것”이라면서 “다만 말하기를 강조하다 보니 일부 교과의 편성을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세종 이제훈 기자 parti98@seoul.co.kr
2016-03-25 1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