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입맛, 몸맛

[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입맛, 몸맛

입력 2012-10-08 00:00
업데이트 2012-10-0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여름을 날 때면 미숫가루가 한몫을 했다. 막 퍼 올린 샘물에 미숫가루를 타서 훌훌 들이마시는 것으로 혼절할 것만 같은 염천을 견디곤 했다. 그런 미숫가루였지만 맛의 감흥은 어른 다르고 아이 달랐다. 어른들은 미숫가루를 마신 뒤 “거 참 고소하다.”고 했고 아이들은 “달달하니 좋다.”고들 했다. 맛내는 방법이 달랐으니 그럴 수밖에 없는 일이다. 어른들 마실 거면 단맛을 줄이거나 아예 소금으로 간을 했지만 아이들 몫에는 사카린을 더 넣어 달착지근하게 타냈다. 그때부터 사카린에 반해 찬장에서 몰래 꺼내 맹물에 타 마시기도 했고 소금알 같은 사카린을 한 알 혀끝에 올려놓고 쓰도록 강한 단맛을 즐기곤 했다. 한번 맛본 단맛의 기억을 떨치기가 어려워 틈만 나면 찬장을 뒤지곤 했는데 그만 사달이 났다.

뭐가 잘못됐는지 한 날 사카린을 먹고 나서 횟배를 앓기 시작했다. 배앓이가 심해 나중에는 뱃골을 드러내 놓고 데굴데굴 굴렀다. 그 모습을 본 어머니가 “뭘 먹고 이 난리냐.”고 추궁해 “사카린 먹고 그렇다.”고 털어놓을 수밖에 없었는데 겨우 횟배앓이를 진정시킨 뒤에는 어머니 지청구를 피해 갈 도리가 없었다. 고작 땅콩 한두개 들어갈 ‘비니루 봉다리’에 담긴 사카린을 야금야금 먹어치운 게 한두번이 아니다. 어머니는 “진드기 능신이냐. 왜 이리 단 걸 좋아하는지 모르겄다.”며 “배앓이 해보니 알겄쟈. 달다고 그렇게 먹으면 또 뱃병 난다.”고 단단히 이르셨다.

그 후 사카린이 불지른 단맛의 향수는 두고두고 내 ‘참을 수 없이 가벼운’ 입맛의 한 근원이 되고 말았다. 그다지 즐길 버릇이 아님을 알면서도 시나브로 당기니 요즘 애들이 햄버거나 피자 찾는 것과 다를 게 없다. ‘입이 몸 걱정 하는 일 없다.’는 듯 입맛에 홀려 커피도 설탕 한 스푼 정도 넣어야 마실 만 하다고 여겨지니 참 떨치기 어려운 버릇이다. 살아보니 몸에 좋은 몸맛과 입만 간지러운 입맛을 어렴풋이 알겠는데 나이 들어 그걸 가리자니 그게 또 부담이 되곤 한다. 그래서 ‘혀로 하는 일은 길들이기 나름’이라고 하는지 모르겠다.

jeshim@seoul.co.kr



2012-10-08 2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