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을 말하다-간암(상)] B형간염과 간암의 상관관계

[암을 말하다-간암(상)] B형간염과 간암의 상관관계

입력 2013-09-30 00:00
업데이트 2013-09-3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만성이면 60배 위험·비활동성도 안심 못 해

B형 간염이 간암의 유력한 원인질환이라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B형 간염 바이러스가 염증을 유발해 간세포 손상을 초래하고, 누적된 손상이 암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물론 모든 B형 간염 환자가 다 암에 걸리는 것은 아니며, B형 간염 등 만성 간질환이 없는 사람에게서 간암이 발생할 위험성은 10만명 중 연간 1∼2명에 불과하다.

그러나 만성 B형 간염을 가졌다면 상황은 달라진다. 이 경우 간암에 노출될 위험성이 무려 60배까지 폭증한다. 이런 위험성은 비활동성도 별로 다르지 않다. 따라서 비활동성 B형 간염이라고 안심할 일이 아니다. 비활동성이라도 간경화로 진행됐다면 만성 간염에 비해 간암으로 발전할 위험성이 3~10배나 높기 때문이다.

이런 간염은 약으로 치료하더라도 간암 발생 위험이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는다. 다만, 의사의 처방과 관리에 따라 치료약을 수년간 꾸준히 복용한다면 거의 문제없이 간경화로 진행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B형 간염을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한다고 강조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B형 간염이라도 급성은 치료와 함께 안정과 고단백 섭식, 금주 등 보전적인 치료만으로도 95% 이상이 호전된다. 그러나 만성은 환자에 따라, 또 시기에 따라 활성도가 변하므로 주기적으로 e항원 상태, AST·ALT수치를 체크하고, 간조직검사를 받아 필요하면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한다. 최근에는 바이러스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뿐 아니라 내성도 거의 없는 약제들이 많이 개발돼 있다.

임영석 교수는 “간암은 완전한 예방·차단이 어렵기 때문에 조기 발견을 위한 정기적인 감시검사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임 교수는 “간암도 조기에 진단하면 5년 생존율이 70%를 웃돌 만큼 예후가 좋다”면서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는 간염 정도에 관계없이 정기적으로 간암 감시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013-09-30 2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