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스 지방 안전하지 않다” 잠정결론… 美 FDA, 사용금지 추진

“트랜스 지방 안전하지 않다” 잠정결론… 美 FDA, 사용금지 추진

입력 2013-11-09 00:00
업데이트 2013-11-09 00: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민건강 위한 중대조치”… 심근경색·뇌졸중 등 유발… 식품업계 “시간·비용 필요”

미국 보건당국이 심장질환의 원인으로 알려진 트랜스 지방을 가공식품에 사용하는 것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7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 등에 따르면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이날 “과학적 근거와 과학자들의 연구 결과 등을 토대로 트랜스 지방이 음식에 사용하기에는 안전하지 않다는 잠정 결론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FDA가 트랜스 지방이 안전하지 않다고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FDA는 앞으로 60일간 트랜스 지방 사용을 금지하는 잠정 결론에 대한 의견을 청취한 뒤 최종 결론을 내릴 예정이다.

사람들이 즐겨 먹는 튀김, 빵, 도넛, 과자 등 튀긴 음식에 많이 들어 있는 트랜스 지방은 액체 상태의 식물성 기름을 마가린 같은 고체 상태로 가공할 때 수소를 첨가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지방이다. 감자튀김과 팝콘의 바삭바삭한 맛과 케이크의 부드러운 질감은 모두 트랜스 지방 때문이다. 핏속의 나쁜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혈관을 좁게 만들어 심근경색, 동맥경화, 뇌졸중 등의 질환을 유발하는 탓에 ‘조용한 암살자’로 불린다.

뉴욕시는 2007년부터 식당에서 트랜스 지방을 사용할 수 없도록 규제하고 있으며, FDA는 2006년 식품업체에 대해 트랜스 지방 사용 여부를 제품에 표기하도록 하고 있다. 이런 추세를 반영하듯 시장조사기관인 유로모니터 인터내셔널에 따르면 2000년 71만 9159t이었던 미국의 트랜스 지방 소비량은 꾸준히 감소해 올해 22만 203t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된다.

FDA의 이 같은 방침이 최종적으로 확정되면 트랜스 지방은 ‘식품 첨가제’로 분류돼 규정에 따른 허가 없이는 식품에 이용할 수 없게 된다.

다만 FDA는 관련 업계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현재 트랜스 지방을 식품에 첨가하고 있는 업체에 대해서는 성분을 조정할 수 있는 준비 기간을 부여한다는 방침이다.

마거릿 햄버그 FDA 국장은 이날 성명에서 “미국에서는 지난 20여년간 해로운 트랜스 지방의 사용이 줄었지만 여전히 공공 보건에 대한 심각한 우려로 남아 있다”면서 “오늘 발표는 트랜스 지방의 잠재적 위험에서 미국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중대한 조치”라고 강조했다.

FDA는 이번 조치가 시행되면 한 해 심장마비 환자 2만명, 심장질환 사망자 7000명을 줄이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으나 일각에서는 불만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식품업계는 FDA의 이날 발표와 관련해 본래 트랜스 지방이 들어간 음식의 성분을 새롭게 바꾸기 위해서는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다고 반발했다. 전문가들 역시 트랜스 지방을 함유하지 않은 채 기존의 음식 맛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첨가물을 넣을 수밖에 없다고 우려를 드러냈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2013-11-09 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