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탙북 한의사 김지은의 고려의학 이야기] (31) 가을철 건강식 추어탕

[탙북 한의사 김지은의 고려의학 이야기] (31) 가을철 건강식 추어탕

입력 2014-11-03 00:00
업데이트 2014-11-03 01: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입맛을 돌게 하는 한 끼 식사는 몸을 건강하게 할 뿐만 아니라 엔도르핀 분비를 자극하고 마음을 즐겁게 해 유쾌한 기분이 들게 한다. 봄에는 달래와 고사리가 상큼함으로, 여름에는 삼계탕이 더위에 지친 몸과 마음을 달래준다. 짙어가는 가을에는 당연히 대표 보양식인 추어탕이 첫손가락에 꼽힌다.

추어탕의 주 재료인 미꾸라지는 술독과 갈증을 풀어주고 소화를 돕는다. 동의보감은 미꾸라지를 ‘맛은 달고 성질이 따뜻할 뿐 아니라 독이 없어 비위의 기능을 보해주고 설사를 멈추게 한다’라고 소개한다. 본초강목에는 원기를 돋우고 술이 빨리 깨게 할 뿐 아니라 성 기능 개선에도 아주 효과적인 강장식이라고 기록돼 있다.

추어탕을 끓일 때는 민물고기의 비린 맛을 없애려고 산초를 넣기도 하는데, 산초는 위를 든든하게 하고 소염작용과 이뇨작용을 도와줘 신진대사 기능을 촉진한다. 또 산초의 향긋한 맛은 추어탕의 기운이 온몸에 더 잘 전달되도록 한다. 미꾸라지는 단백질과 비타민A, 비타민B2, 비타민D가 풍부하고 지방이 적은데다 불포화지방산이라 동맥경화를 일으키는 나쁜 콜레스테롤을 낮춰준다.

미꾸라지로 추어탕을 끓이면 미꾸라지의 뼈까지 통째로 먹을 수 있어 칼슘 보충에도 탁월하다. 특히 소화가 잘돼 소화력이 떨어진 어르신이나 큰 수술 후 회복기 환자의 기력 회복에 아주 좋은 식품이다.

2014-11-03 2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