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르신 폐렴 조심을”… 70세 이상 환자 5년 새 45%↑

“어르신 폐렴 조심을”… 70세 이상 환자 5년 새 45%↑

입력 2014-11-24 00:00
업데이트 2014-11-24 01: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겨울·늦봄에 많아… 사망 원인도 5위

23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국내 폐렴 환자는 2009년 135만 3000여명에서 지난해 147만 5000여명으로 5년간 12만명(9.0%) 정도 늘었다.

연령대별로는 10세 미만 44.9%, 70세 이상 14.1%, 50대 9.0%였다. 70세 이상 노인 환자는 10세 미만 어린이 환자보다 수는 적었지만 상대적으로 급격한 증가폭(45.4%)을 보였다. 10~20대 환자는 감소했지만 노인 환자는 지난 5년간 6만 6000여명이 증가했다.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으로 인해 폐에 염증이 생기는 폐렴은 기침, 가래, 열 등 감기와 비슷한 증상을 보인다. 가슴 통증, 호흡곤란 등 호흡기 증상 및 두통, 근육통이 나타나거나 끈적한 고름 모양의 가래가 나오기도 한다. 그러나 노인 환자는 특별한 증상을 보이지 않는 사례가 20~30%에 이른다. 노인 환자는 식욕 감퇴나 활동 감소 등의 변화를 보이기도 하지만 일반적인 경우보다 나타나는 증상이 적어 뒤늦게 병원을 찾는 일이 잦다.

통계청의 ‘2013년 사망원인 통계’에 따르면 70세 이상의 사망원인 가운데 폐렴이 다섯 번째로 높았다. 가벼운 감기 증상이라도 높은 열이 발생하고 가래와 호흡곤란, 무기력 증상 등이 나타나면 전문의를 찾아가 폐렴 여부를 진단해야 한다.

특히 일교차가 크고 면역력이 떨어지는 겨울철이나 늦은 봄에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합병증이 없거나 내성균(약물의 반복 복용에 의해 약효가 저하하는 현상)에 의한 폐렴이 아니라면 치료하는 데 보통 2주 정도 걸린다. 다만 스스로 호흡이 불가능할 정도로 중증인 경우에는 중환자실에서 인공호흡기에 의지해 치료를 받아야 한다.

심영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심사위원은 “폐렴은 유·소아 진료 인원이 많은 데다 노인의 주요 사망요인으로 떠오르는 만큼 예방 접종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며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14-11-24 2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