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자금 관리 의혹’ 5공 실세들도 소환될까

‘비자금 관리 의혹’ 5공 실세들도 소환될까

입력 2013-07-23 00:00
업데이트 2013-07-2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종상 전 靑경호실 과장 등

전두환 전 대통령 일가에 대해 미납 추징금 환수에 나선 검찰이 22일 장남 재국씨의 미술품 구매를 대리해 준 전모씨의 자택 등 3곳을 추가로 압수 수색하는 등 환수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검찰은 이번 주부터 전씨를 비롯해 전 전 대통령의 비자금 관리에 연루된 주변 인물들을 본격 소환할 방침이다.

이미지 확대
검찰이 전 전 대통령 친인척뿐 아니라 측근들까지 수사 범위를 확대하면서 과거 전 전 대통령의 비자금 모집과 은닉, 관리에 관여한 5공 실세들이 소환될지 관심이 모아진다.

특히 1996년 검찰 수사, 2004년 차남 재용씨의 조세포탈 사건 수사 당시 비자금 관리에 관여한 것으로 지목됐던 김종상 전 청와대 경호실 경리과장, 이재식 전 청와대 총무수석, 장해석 전 청와대 재무관 등 측근 인사들이 말문을 열지 주목된다. 이들은 수천억원대 무기명 채권의 매입·유통 과정에서 비자금 계좌를 관리하고, 차명계좌를 이용해 자금 은닉·관리를 담당했던 것으로 당시 검찰 수사에서 드러났다. 측근들 대부분은 5공 시절 청와대 보좌진 등으로 당시 검찰 조사에서 철저히 혐의를 부인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자택이 압수 수색된 전씨도 전 전 대통령 일가의 비자금을 관리하는 최측근으로 거론된다. 특히 전씨는 재국씨를 도와 미술품을 거래하는 것 외에도 부동산 등 차명재산 관리도 담당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전씨는 2000년대 초까지 재국씨가 운영하는 시공사 이사로 활동했으며, 전 전 대통령 일가가 운영한 갤러리 대표도 지냈다. 특히 전씨는 1992년 재용씨 소유의 서울 신반포아파트를 사들인 뒤 2000년 이를 전 전 대통령의 딸 효선씨에게 다시 넘기기도 했다.

친인척 중에서는 비자금 관리 핵심 인물로 거론되고 있는 전 전 대통령의 처남 이창석씨와 그의 부인 홍정녀씨가 주요 소환 대상자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씨는 2004년 재용씨가 증여세 포탈 혐의로 구속됐을 때 용인 땅의 수익권을 넘겨받는 등 전 전 대통령 일가의 부동산 거래와 BLS 등 가족 명의로 된 법인 운영, 미술품 구매 등에 관여했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5공 비자금 관리책을 맡으면서 ‘5공녀’, ‘공아줌마’로 불린 홍씨도 삼원유통, 삼원코리아 등 법인을 운영하면서 전 전 대통령 자금 운용에 관여했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13-07-23 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