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이 인정한 비자금 167억 첫 추징대상 될까

법원이 인정한 비자금 167억 첫 추징대상 될까

입력 2013-07-23 00:00
업데이트 2013-07-23 09: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두환 아들 재용씨 형사·행정소송서 실체 드러나

검찰이 전두환 전 대통령의 은닉재산을 대대적으로 추적중인 가운데 둘째 아들 재용씨에게 흘러들어간 것으로 법원이 인정한 167억원의 추징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재용씨가 은행 대여금고에 숨겨뒀다가 발각된 이 돈은 1997년 전씨에게 추징금 2천205억원이 확정된 이후 유일하게 실체가 드러난 비자금이다.

23일 법원과 검찰에 따르면 법원은 2004년과 2008년 두 차례에 걸쳐 전씨의 비자금 167억500만원이 재용씨에게 증여된 사실을 인정했다.

서울중앙지법은 2004년 재용씨의 증여세 포탈 혐의를 유죄로 판단하면서 “재용씨가 은닉한 국민주택채권 167억500만원어치 가운데 73억5천500만원의 자금 출처가 전씨의 비자금”이라고 인정했다.

이 사건은 나머지 93억5천만원이 누구에게 증여받은 것인지를 놓고 세 차례의 재판을 더 거쳤다.

서울고법은 2007년 파기환송심에서 93억5천만원의 출처를 알 수 없다고 보고 징역 2년6월에 집행유예 3년, 벌금 28억원을 선고했다. 이 판결은 재용씨와 검찰 모두 상고하지 않아 확정됐다.

서대문세무서는 조세포탈을 인정한 1심 판결이 나자 재용씨에게 떼먹은 증여세 80억2천만원을 부과했다. 93억5천만원에 대해서는 증여자를 전씨의 장인인 이규동씨로 보고 자녀가 아닌 직계비속이 증여받을 때 적용하는 할증 가산액까지 매겼다.

이에 재용씨는 2006년 세무서를 상대로 증여세를 취소해달라며 행정소송을 냈다. 그는 조세포탈 사건 재판 때처럼 “결혼축의금을 외할아버지가 불려준 것”이라고 주장했다.

법원은 할증 가산액 등 일부 처분을 취소하면서 문제가 된 167억500만원이 모두 전씨에게서 나온 것으로 판단했다.

당시 재판부는 ▲이규동씨가 평소 전씨의 재산관리인 역할을 한 점 ▲93억5천만원어치 채권들도 재용씨와 관련된 차명계좌에 입고되는 등 앞서 비자금으로 인정된 자금들과 같은 경로를 거친 점 ▲유학생이던 재용씨가 증여 이외의 방법으로 채권을 취득하기 어려운 점 등을 근거로 들었다.

거액의 비자금이 확인됐지만 추징금으로 환수되지는 못했다. 추징에 앞서 채권을 전씨 앞으로 돌려놓기 위한 ‘사해행위 취소소송’을 검찰이 내지 않았기 때문이다. 세금 소송의 판결이 날 때는 이미 사해행위에 대해 소송을 걸 수 있는 ‘제척기간’이 지난 상태였다.

불법재산을 넘겨받은 제3자에게도 직접 추징할 수 있도록 한 이른바 ‘전두환 추징법’이 발효되면서 이런 소송 절차를 거칠 필요는 없어졌다.

부동산 매입 등의 방법으로 종잣돈이 불어났다면 ‘불법수익에서 유래한 재산’에 해당돼 증식된 재산까지 추징할 수 있다. 검찰은 다른 은닉재산에 비해 관련 차명계좌 등 비교적 최근의 수사자료가 남아있는 데 기대를 걸고 있다.

그러나 재용씨 등의 현재 재산과 과거 채권 사이의 연결고리를 찾기가 의외로 어려울 수도 있다. 검찰 관계자는 “채권을 현금화해 전부 써버렸다고 주장하면 추징이 불가능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