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 “전교조 단체교섭권 없다”…가처분 기각

법원 “전교조 단체교섭권 없다”…가처분 기각

입력 2014-06-27 00:00
업데이트 2014-06-27 15: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 서울시 사립학교들에 “단체교섭 요구에 성실히 응하라”며 법원에 가처분 신청을 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미지 확대
전교조, 대국민 선전 퍼포먼스
전교조, 대국민 선전 퍼포먼스 27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열린 전교조 대국민 선전 퍼포먼스에서 참석자들이 ’참교육 25년 전교조를 지켜주세요’라는 문구가 담긴 홍보물을 펼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50부(조영철 수석부장판사)는 전교조가 서울시사립학교 단체교섭협의회와 서울시내 사학재단 118곳을 상대로 낸 단체교섭응낙 가처분 신청을 기각했다고 27일 밝혔다.

재판부는 최근 서울행정법원이 내린 ‘전교조 법외노조’ 판결에 따라 이같이 결정했다.

재판부는 “전교조는 고용부의 법외노조 통보에 불복해 소를 제기했지만, 청구가 기각되는 판결이 선고됐다”며 “이에 따르면 전교조는 교원노조법에 따른 노동조합에 해당하지 않아 단체교섭권을 인정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재판부는 다만 전교조가 법외노조이므로 단체교섭권 관련 가처분을 신청할 자격이 없다는 학교들의 주장에 대해서는 “(법외노조라고 해서) 사안에 대해 다퉈볼 자격이 없는 것은 아니다”고 밝혔다.

앞서 전교조는 2012년 8월부터 2013년 8월까지 단체교섭협의회와 17차례에 걸쳐 실무교섭을 진행했지만 요구안 일부가 받아들여지지 않자 “단체교섭청구권을 침해한다”며 가처분 신청을 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