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총장 “구성원 일탈행위로 국민에 충격…면목없다”

검찰총장 “구성원 일탈행위로 국민에 충격…면목없다”

입력 2014-09-02 00:00
업데이트 2014-09-02 16: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음란행위’ 제주지검장 사건 언급…심리상담·치료 확대 등 지시

김진태 검찰총장이 공연음란 혐의로 경찰에 체포됐다가 풀려난 김수창(52·사법연수원 19기) 전 제주지검장 사건 등과 관련해 검찰 조직의 수장으로서 2일 사과의 뜻을 밝혔다.

김 총장은 이날 서울 서초구 대검청사에서 열린 확대간부회의에서 “최근 계속해서 일어난 검찰 구성원의 일탈행위로 국민께 큰 충격과 실망을 드렸다”면서 “더구나 비위를 저지른 사람 다수가 구성원 중에서도 고위직이었고 대처과정 등에서 보인 모습도 바람직하지 못해 면목이 없고 송구스럽다”고 밝혔다.

김 전 지검장은 경찰 수사 결과 음란행위가 확인돼 사직했다. 앞서 대검 감찰본부는 ‘재력가 살인사건’ 피해자로부터 금품을 받은 혐의로 수도권지청 A 검사에 대한 면직을 법무부에 청구했다.

김 총장은 “공직자는 언제나 바르고 당당하게 처신해야 하고 혹시라도 국가와 국민에 누를 끼쳤다면 책임추궁 이전에 스스로 책임지는 자세를 보여주어야 한다”면서 “조직구성원의 한 사람으로서 자신의 유·불리에 앞서 자신의 행동이 조직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를 먼저 생각하면서 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김 총장은 “이런 때일수록 검찰에 주어진 본연의 사명을 더욱 충실히 수행해야 한다”면서 “현재 진행 중인 민관유착 비리 수사 등 각종 부정부패 척결에 총력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이같은 검찰 구성원의 일탈행위가 과중한 업무 스트레스에서 유발됐을 수 있다는 지적과 관련해 김 총장은 심리 상담과 치료를 확대하고 생산적인 여가활동을 지원할 것을 지시했다.

김 총장은 이어 수사관 승진 적체, 무기계약직의 열악한 처우, 검사 업무량 증가 및 결원에 따른 인력 부족 등 조직이 당면한 과제를 언급한 뒤 “유관부서와 국회를 설득하는 등 문제 해결을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면서 “검찰 구성원 역시 제대로 된 업무 수행을 자신의 이해관계나 처우에 관한 문제보다 앞세우면서 본분을 다하고 있는지 자성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앞서 검찰 수사관들은 국가공무원법 개정으로 기능직 공무원이 수사관으로 전직할 수 있게 되자 검찰총장을 상대로 행정처분 취소 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김 총장은 “승진적체 해소, 처우개선 등과는 별개로 우리 스스로 열심히 일하는 검찰, 의욕과 활력이 가득한 조직 분위기를 만들도록 더욱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