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앞에선 40년 우정도 없었다

돈 앞에선 40년 우정도 없었다

입력 2014-10-02 00:00
업데이트 2014-10-02 04: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술품 빼돌린 이혜경·홍송원 나란히 기소

동양그룹 사태 직후 강제집행을 피하기 위해 수백점에 달하는 미술품을 빼돌린 ‘40년 지기’가 나란히 법정에 서게 됐다.

대학 동문인 이혜경(62) 동양그룹 부회장과 홍송원(61) 갤러리서미 대표는 학창 시절 함께 테니스를 치며 친분을 쌓았다. 1990년대 초반 홍 대표가 미술품 거래를 시작할 즈음 이 부회장은 그를 통해 미술품을 구입하기도 했다. 한동안 소원하게 지내던 이들은 지난해 동양그룹 사태로 다시 한번 의기투합했다. 이 부회장은 121억원에 이르는 개인 채무로 서울 성북구 성북동 자택에 이어 소장 미술품까지 가압류당할 처지에 놓였다.

이들은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3월까지 수차례에 걸쳐 이 부회장 자택과 동양증권 사옥 등에서 그림과 조각, 고가구 등 400여점을 반출해 갤러리서미 등에 숨겼다. 이 중 13점은 47억 9000만원에 국내외에 매각했다.

웨인 티보의 ‘캔디 스틱스’가 7억원에, 데이미언 허스트의 작품 두 점이 3억 5000만원에 팔리기도 했다. 시가 1억원으로 추정되는 백남준의 비디오 아트 작품은 미처 팔지 못하고 검찰에 압수되기도 했다. 우정보다 돈이 우선이었을까. 홍 대표는 애니시 커푸어와 알리기에로 보에티의 작품을 170만 달러에 판 뒤 수수료를 제하고 받은 15억원을 이 부회장에게 주지 않고 대금을 받지 못한 것처럼 꾸미기도 했다. 홍 대표 역시 개인 채무와 법인세 체납 등으로 갤러리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이었다.

서울중앙지검 금융조세조사3부(부장 이선봉)는 강제집행면탈 혐의로 이 부회장을 불구속 기소하고, 홍 대표를 구속 기소했다.

홍 대표는 15억원을 횡령한 혐의도 받고 있다. 검찰은 이들이 빼돌린 미술품 가운데 재산 가치가 큰 107점에 대해서만 혐의를 적용했다. 검찰 관계자는 “동양그룹 사태 피해자를 위해 법원 파산부와 협의해 압수물, 현금 전부를 가압류했다”며 “이 부회장은 소유권 포기 의사를 밝혔다”고 말했다.

이정수 기자 tintin@seoul.co.kr
2014-10-02 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