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자 꿈꾸는 아이에게 가장 좋은 학원은 공과 책”

“과학자 꿈꾸는 아이에게 가장 좋은 학원은 공과 책”

입력 2013-11-04 00:00
업데이트 2013-11-04 00: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로봇박사 데니스 홍 美버지니아공대 교수 방한

“한국에 오면 엄마들이 ‘아이를 (저처럼) 세계적인 과학자로 키우려면 어느 학원에 보내야 하냐’고 물어요. 그러면 전 말합니다. 아이에게 가장 좋은 학원은 바로 ‘공’하고 ‘책’ 두 개라고요. 아이가 마음껏 뛰어놀며 스스로 궁금증을 해결하게 도와주면 능력은 저절로 깨어나게 돼 있어요.”

세계적 로봇 공학자 데니스 홍(오른쪽) 미국 버지니아공대 교수가 지난 1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aT센터에서 열린 강연회에서 사인을 받으러 온 장애인 관람객과 대화를 나누며 활짝 웃고 있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세계적 로봇 공학자 데니스 홍(오른쪽) 미국 버지니아공대 교수가 지난 1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aT센터에서 열린 강연회에서 사인을 받으러 온 장애인 관람객과 대화를 나누며 활짝 웃고 있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세계적인 로봇 공학자 데니스 홍(한국명 홍원서·42) 미국 버지니아공대 교수는 지난 1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과학자를 꿈꾸는 아이를 둔 부모들에게 이같이 조언했다. 한국에서처럼 아이에게 뭔가를 억지로 주입하려 하면 창의성이 자라지 않는다는 이유에서다.

그는 2011년 세계 최초로 시각장애인이 직접 운전할 수 있는 자동차를 개발했다. 당시 미 언론으로부터 ‘달 착륙에 버금가는 성과’라는 찬사를 들었다. 유명인사가 된 지금은 틈나는 대로 각국을 돌며 장애인을 위한 보조공학 기술 가능성을 알리고 있다.

지난 1~2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aT센터에서 열린 ‘2013 대한민국 보조공학기기 박람회’ 홍보대사로 위촉돼 한국을 찾은 홍 교수는 한국 유학생들을 지도했던 경험을 토대로 우리나라 교육방식의 문제점에 일침을 가했다.

그는 “한국 학생들은 스스로 답을 창조해야 하는 ‘오픈 엔드(open-end)형’ 문제에 유독 약하다. 주입식 교육에 길들여져 창의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라면서 “특히 자신 이외의 모든 이들을 경쟁 상대로 삼는 풍토에서 교육을 받아서인지 토론 수업을 말싸움으로 여기거나 팀 프로젝트에 적응하지 못하는 등 ‘협업 능력’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홍 교수는 “과학이나 공학에 재능을 보이는 아이들 가운데 상당수는 학교 교육이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여기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대단히 잘못된 생각”이라면서 “위대한 기술은 사람을 온전히 이해해야만 만들 수 있고, 사람을 이해하려면 학교 수업을 통해 인문, 수학, 과학 등의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자신이 시각장애인용 자동차를 개발한 것은 미 시각장애인협회의 주문 사항을 잘못 이해해 빚어진 ‘실수’였다고 밝혔다. 단순히 시각장애인을 태울 수 있는 차량이라고 생각하고 지원했는데, 알고보니 그들이 요구한 것은 시각장애인이 직접 운전할 수 있는 자동차였던 것.

홍 교수는 “처음에는 협회의 요청이 말도 안 된다고 생각했지만 결국 그들이 원하는 차를 만들 수 있었다”면서 “불가능하다고 생각되는 문제에 자신을 내던지는 것이 진정한 도전이며 이런 것들이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했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2013-11-04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