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슬링 올림픽 잔류 희박…태권도도 영구종목 아냐”

“레슬링 올림픽 잔류 희박…태권도도 영구종목 아냐”

입력 2013-02-28 00:00
업데이트 2013-02-28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떠나는 박용성 대한체육회장

4년 임기를 마친 박용성 대한체육회장이 27일 이임식을 갖고 물러났다.

박 전 회장은 서울 노원구 공릉동 태릉선수촌 챔피언하우스에서 김정행 신임 회장을 비롯한 체육계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이임식을 가졌다. 박 전 회장은 “지난 4년간 정말 고마웠다”고 임직원들에게 인사를 건넨 뒤 “국제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내고 많은 업적을 이뤘다는 과분한 칭찬을 받았다. 많은 분들의 응원과 격려가 있어 가능한 결과였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미지 확대
박용성 대한체육회장 연합뉴스
박용성 대한체육회장
연합뉴스
2009년 2월 제37대 체육회장에 당선된 박 전 회장은 대한체육회와 대한올림픽위원회를 통합하고 2010년 밴쿠버 동계올림픽, 2012 런던올림픽에서 세계 5위의 역대 최고 성적을 일구는 데 일조했다.

삼수 끝에 뜻을 이룬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는 박 전 회장의 가장 큰 공으로 꼽힌다. 반면 런던올림픽에서 신아람 사태에 대한 대응으로 구설수에 올랐고, 얼마 전 회장 선거에서 선수위원장 선임으로 김 회장을 지원했다는 비판을 듣기도 했다.

박 전 회장은 “한국 체육은 두 번이나 떨어졌던 평창동계올림픽을 유치했다.”고 자평한 뒤 “우리의 권리를 지킬 수 있는 노력은 대한체육회뿐만 아니라 각 경기단체가 함께 일궈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임식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선 2020년 올림픽 종목에서 퇴출된 레슬링의 복귀 가능성에 대해 박 전 회장은 “일각에서는 오는 5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리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집행위원회에서 레슬링이 올림픽 후보종목으로 선정될 수 있다고 하는데 내가 볼 때는 가능성이 제로(0)에 가깝다”고 말했다. 레슬링과 함께 퇴출 후보에 들었던 태권도에 대해선 “핵심 종목이 됐다고 영구히 (올림픽에) 남는 것은 아니다”라고 다시 한번 경종을 울렸다.

박 전 회장은 평창 동계올림픽에 관련해서도 쓴소리를 남겼다. 박 전 회장은 “현재 평창 지역에 올림픽 빌리지를 건설해야 하는데 아직 사업자조차 선정하지 못했다”면서 “이런 내용을 IOC 평창올림픽 조정위원장인 구닐라 린드베리 IOC 위원이 최근 집행위에 보고했다”고 전했다. 박 전 회장은 “평창 동계올림픽 준비에 박차를 가해 IOC의 우려를 하루빨리 해소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김민희 기자 haru@seoul.co.kr

2013-02-28 2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