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창규 기자의 광저우 아침] 한국 선수들의 눈물 더이상 보이지 않길

[박창규 기자의 광저우 아침] 한국 선수들의 눈물 더이상 보이지 않길

입력 2010-11-23 00:00
업데이트 2010-11-23 0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 밴쿠버 동계올림픽 뒤부터다. 신세대 선수들은 울지 않는다고들 했다. 발랄하고 기발한 세대라고도 했다. 지나치게 비장하고 주눅 들었던 이전 세대와는 다르다고 했다. G세대라나 뭐라나…. 태극기가 올라가도 울지 않는. 웃고, 손 흔들고, 춤추는 유쾌한 아이들.
이미지 확대
정다래, 감격의 눈물
정다래, 감격의 눈물 정다래도 금메달이다. 17일 광저우시 아오티 아쿠아틱센터에서 정다래가 아시안게임 평영 200m 우승 후 눈물을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아시안 게임 화보] 광저우 정복한 대한민국 대표 선수들

참 단순한 공식이다. 먹고살기 좋아지면서 예전보다 표정이 덜 어두운 건 사실일 거다. 쓸데없는 형식이나 관행에도 덜 얽매일 가능성이 크다. 그러면 우리 어린 선수들은 울지 않을까. 그렇게 발랄하고 유쾌하기만 할까. 사실 반대다. 한국 선수들은 유난히 많이 운다. 이번 광저우 아시안게임에서도 마찬가지다. 이겨도 울고 져도 운다. 물론 다른 나라 선수들도 운다. 그러나 우리보다 덜 운다. 눈물이 많은 건 한국선수들의 특징이다.

지난 17일 수영 여자 평영 200m에서 금메달을 딴 정다래는 펑펑 울었다. 한참을 울고 또 울었다. 그칠만 하다가도 누가 말만 붙이면 울었다. 눈물 쏟는 정수기 수준이었다. 15일 유도 여자 57㎏급 김잔디도 비슷했다. 결승에서 일본 선수에게 진 뒤 서럽게 울었다. 울면서 인사하고 울면서 퇴장했다. 선수 대기실에서도 한참을 울었다. 시상대에 서자 다시 울었다. 왜 울었느냐고 물었다. 김잔디는 “잘 모르겠지만 서러워서….”라고 했다. 설명이 잘 안 되는 서러운 느낌. 어디선가 많이 봤던 단어가 생각난다. 바로 ‘한’.

이미지 확대
15일 중국 광저우 화궁체육관에서 열린 2010 광저우 아시안게임 유도 여자 57kg 이하급 경기에 출전한 한국의 김잔디가 일본의 마쓰모토 카오리에게 패해 은메달에 머물자 눈물을 흘리고 있다.  광저우=연합뉴스
15일 중국 광저우 화궁체육관에서 열린 2010 광저우 아시안게임 유도 여자 57kg 이하급 경기에 출전한 한국의 김잔디가 일본의 마쓰모토 카오리에게 패해 은메달에 머물자 눈물을 흘리고 있다.
광저우=연합뉴스


이유가 뭘까. 그렇게 발랄하고 유쾌하다는 G세대 선수들인데. 왜 가슴 속에 한을 담아 울었을까. 결국 G세대라는 규정 자체가 허상에 가까워서다. 가만히 생각해보면 당연하다. 20~30년 전이나 지금이나 한국 엘리트 체육 상황은 달라진 게 없다. 아시안게임씩이나 참가하는 국가대표 선수들은 혹독한 훈련과정을 거친다. 다른 삶을 포기한 올인이다. 학생 선수들은 여전히 공부할 시간이 없다. 기본적으로 메달을 따야 존재 의의를 가진다. 다 같이 즐기는 대중 체육 선수들과 다르다. 한국 엘리트 체육의 특징이다.

메달을 따느냐 못 따느냐에 따라 삶이 극명하게 달라진다. 평생 먹고살 연금 점수가 오락가락한다. 남자 선수들은 군대 문제도 걸려 있다. 메달을 못 따서 운동을 관두면 무얼 해야 할지 스스로도 잘 모른다. 그게 단 한번 경기 결과에 따라 좌우된다. 과연 유쾌할 수 있을까. 과연 즐길 수 있을까. 그래서 선수들은 운다. 경기가 끝나면 몇년 동안 쌓였던 한과 설움이 한꺼번에 터져 나온다. 우는 게 당연하다. 눈물은 한국 선수들의 특징이다.

어린 선수들의 발랄함을 강조하는 건 책임회피다. 엘리트 스포츠의 폐해는 외면하고 과실만 따 먹겠다는 자세다. 메달 좀 적게 따면 어떤가. 이면을 들여다보자. 그들이 울지 않게 해주자.

nada@seoul.co.kr
2010-11-23 2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