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80도 비틀어 한국 체조 180도 바꿨다

1080도 비틀어 한국 체조 180도 바꿨다

입력 2012-08-07 00:00
업데이트 2012-08-07 01: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양학선, 도마에서 사상 첫 金

‘도마의 신’ 양학선(20·한국체대)이 한국 체조 역사상 52년 만에 처음으로 올림픽 금메달을 땄다.
6일 런던 노스그리니치 아레나에서 열린 런던올림픽 남자체조 도마에서 금메달을 딴 양학선이 시상대 위에서 금메달을 깨물어 보고 있다. 런던올림픽공동사진취재단
6일 런던 노스그리니치 아레나에서 열린 런던올림픽 남자체조 도마에서 금메달을 딴 양학선이 시상대 위에서 금메달을 깨물어 보고 있다.
런던올림픽공동사진취재단
이미지 확대


양학선은 6일 런던의 노스그리니치 아레나에서 열린 올림픽 도마 결승에서 1, 2차 시기 평균 16.533점으로 시상대 맨 위에 섰다. 2위 데니스 아블랴진(러시아·16.399점)에 크게 앞선 압도적인 기량이었다.

출국 전 “연습할 때면 ‘지금 이 정도만 하면 금메달이겠다’는 생각을 한다.”던 양학선은 이변 없이 정상에 올랐다. 1차 시기에서 자신이 만든 독보적인 기술 ‘양학선’(난도 7.4)을 시도해 착지 실수에도 16.466점을 챙기더니, 이어진 2차 시기에서는 스카라 트리플(난도 7.0점)을 완벽하게 내리꽂아 금메달을 완성했다. 채점 결과가 발표되기도 전에 태극기를 들고 경기장을 돌 정도로 완벽한 우승이었다.

항상 한 끗이 부족했던 한국 체조계의 숙원도 풀렸다. 한국 기계체조는 1960년 로마올림픽부터 4년 전 베이징올림픽까지 끈질기게 정상 문턱에 있었지만 지독하게 금메달과 인연이 없었다. 은메달 4개와 동메달 4개가 전부. 유옥렬, 여홍철 등 내로라하는 선수들은 올림픽 무대에서 결정적인 실수에 발목이 잡혀 번번이 무너졌다.

런던 조은지기자 zone4@seoul.co.kr

2012-08-07 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