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만 흥행’ K리그, 입장 수입도 첫 300억 돌파

‘300만 흥행’ K리그, 입장 수입도 첫 300억 돌파

홍지민 기자
홍지민 기자
입력 2024-01-04 16:24
업데이트 2024-01-04 19: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지난해 8월 19일 울산 문수경기장에서 열린 울산 HD와 전북 현대의 경기. 한국프로축구연맹 제공
지난해 8월 19일 울산 문수경기장에서 열린 울산 HD와 전북 현대의 경기. 한국프로축구연맹 제공
2023시즌 프로축구 K리그가 사상 처음 입장 수입 300억원을 돌파하며 최다 기록을 새로 썼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은 4일 지난 시즌 K리그1, 2를 합친 총 입장 수입이 344억 2068만 9010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2013년 승강제를 도입하며 연맹 차원에서 입장 수입과 객단가를 집계해 공식 발표하기 시작한 이래 가장 높은 수치다.

종전 최고 기록으로 코로나19 이전이던 2019시즌(약 197억원)보다 약 74.72% 증가했다. 코로나19 에서 벗어나 완전한 일상 회복을 맞은 첫 시즌인 2022시즌(약 160억원)과 비교하면 115.12% 뛰었다.

K리그1의 총 입장 수입은 307억 6964만 710원이다. 구단별로는 FC서울이 가장 많은 63억 1094만 6400원을 기록했고. 울산 HD(42억 4768만 1001원), 수원 삼성(35억 5600만 4100원), 전북 현대(33억 4975만 8120원) 등이 뒤를 이었다.

K리그2의 입장 수입은 36억 5104만 8300원이었다. FC안양(7억 210만 3200원)이 가장 많았고, 전남 드래곤즈(4억 4138만 5280원), 부산 아이파크(3억 8591만 3500원) 순이다.

입장 수입이 증가한 주요 원인으로는 역대급 흥행 열기가 손꼽힌다. K리그 40주년을 맞아 다양한 마케팅과 광주FC, 대전하나시티즌 등 승격팀들의 선전으로 리그 전반적으로 열기가 뜨거웠다. 1, 2부를 통틀어 총관중은 301만 1509명으로 유료 관중 집계 기준 한 시즌 ‘300만 관중’ 시대를 열었다. 이에 더해 각 구단이 무료 입장과 과도한 할인을 자제하는 한편, 금액대별 특성화 좌석 판매를 늘리는 등 객단가를 끌어올린 것도 수입 증가에 영향을 줬다.

2023시즌 K리그1 12개 구단의 평균 객단가는 1만 1980원으로, 객단가 역시 2013년 이래 최다 기록을 썼다. 구단별로는 수원이 가장 높은 1만 5418원이었고, 서울이 1만 4676원, 대구FC가 1만 2995원으로 뒤를 이었다. K리그2의 평균 객단가는 4972원이었으며, 안양이 8090원으로 가장 높았다.

객단가는 시즌 전체 입장 수입에서 실제로 경기를 관람하지 않은 시즌권 소지자의 티켓 구매 금액을 차감한 후, 이를 시즌 전체 유료 관중 수로 나눠 산출한다.
홍지민 전문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