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밴쿠버 이후 점검과 모색](⑤·끝) 톱5… 이젠 평창유치로

[밴쿠버 이후 점검과 모색](⑤·끝) 톱5… 이젠 평창유치로

입력 2010-03-05 00:00
업데이트 2010-03-05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제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이다.’

밴쿠버 동계올림픽 ‘톱5’의 성적을 발판으로 ‘3수’ 도전 강원 평창이 2018년 동계올림픽 유치에 큰 힘을 받고 있다.

한국의 전통적인 ‘금밭’이었던 쇼트트랙은 물론 스피드스케이팅과 피겨스케이팅에서 금메달 6개를 비롯해 14개의 메달을 획득한 이번 밴쿠버 동계올림픽은 한국이 더 이상 특정 종목에만 치우쳐 있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입증했다.

●특정 종목 편중 벗어나기 시작

2010년, 2014년 동계올림픽을 평창이 유치하고자 했을 때 국제올림픽위원회(IOC) 현지실사 보고서에는 각각 “동계스포츠가 특정 종목에 치중돼 있고, 저변 확대가 안 되어 있다.”고 지적했다. 이는 쇼트트랙에 대한 종목 편중과 동계올림픽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목격한 탓이다. 이는 스키점프 대표 선수들의 애환을 그린 영화 ‘국가대표’에서 드러났다.

때문에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개막 직전 한국 선수단을 방문해 “평창이 동계올림픽을 유치하려고 지금 당장 홍보 활동을 하는 것보다 선수들이 좋은 성적을 내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한 이유다.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 쇼트트랙 이정수의 금메달 2개는 물론 ‘육상 100m’에 해당하는 500m 스피드스케이팅 남녀에서 모태범, 이상화의 금메달, ‘마라톤’급인 1만m 스피드스케이팅에서 이승훈의 금메달, 여자 피겨 싱글 세계 신기록으로 ‘세계의 여왕’으로 등극한 김연아까지 가세하자, 전 세계에서 모여든 기자들은 “도대체 한국이 왜 이렇게 잘하느냐.”며 의아했다.

한국 선수들의 놀라운 성적 덕분에 국가 인지도도 크게 올라갔다. 당연히 평창이 경쟁자인 독일의 뮌헨이나 프랑스의 안시보다 유리할 수 있다는 점을 예상하는 대목이다.

박용성 대한체육회 회장은 지난 2일 입국 기자회견에서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김진선 강원도지사도 1일 KBS 라디오에 출연해 “한국선수들의 선전이 올림픽 유치에 절대적”이라며 “유럽이나 북미의 동계스포츠 강국들은 (유치국이) 동계스포츠를 잘하느냐, 국민의 참여 열기가 얼마냐, 기량이 어느정도냐가 중요한 판단기준이 된다.”고 말했다. 이어 김 지사는 “러시아 소치가 2014년 대회를 유치한 것은 동계스포츠 최강국인데 동계올림픽을 한 번도 열지 못했다는 이유가 먹혔다.”며 유치에 기대감을 표시했다.

●내년 7월 남아공서 개최지 결정

정부도 이번에 동계스포츠 활성화 방안을 조만간 발표해 밴쿠버 올림픽으로 후끈 달아오른 국민의 관심을 지속시킬 예정이다. 평창유치위는 “이번 밴쿠버에서 선수들의 성적이 월등히 좋아진 것은 2007년부터 시작된 동계스포츠 종목 육성의 결과”라며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강조했다. 또한 “밴쿠버에서 봅슬레이와 스키점프, 모굴스키, 스노보드 등이 신규 종목에 참여한 것은 동계스포츠의 시작으로 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2018년 대회 개최지는 내년 7월 남아공 더반에서 열리는 IOC 총회에서 최종 결정된다. 한국은 이미 프랑스가 3회(1924년 샤모니, 1968년 그레노블, 1992년 알베르빌), 독일은 1회(1936년 가르미쉬 파르텐키르센) 대회를 연 데다 2014년 소치 대회에 이어 연속해서 유럽에서 대회를 가져가는 것보다 일본(1972년 삿포로, 1998년 나가노) 외에는 20년 만에 처음으로 아시아에서 여는 것에 대한 의미를 강조하겠다는 복안이다.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
2010-03-05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