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약세에 신흥국 통화 ‘중병’

달러 약세에 신흥국 통화 ‘중병’

입력 2011-05-02 00:00
업데이트 2011-05-02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韓·中·말레이시아·브라질 등 줄줄이 기록적인 하락세

중국과 브라질 등 신흥국의 달러 대비 환율이 약(弱) 달러와 풍부한 달러 유동성의 영향으로 기록적인 하락세를 기록하고 있다. 중국 위안화 환율은 1993년 이후 18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고, 말레이시아 링깃화는 1997년 이후 달러화 대비 초강세를 보이고 있다. 원·달러 환율도 달러당 1060원대를 위협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올 연말까지 신흥국 통화의 강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측했다.

이미지 확대
1일 금융권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은 지난달 28일 1071.2원으로 마감해 2008년 8월 22일(1062.5원) 이후 최저치로 떨어졌다. 위안화 환율의 하락 속도는 더욱 가파르다. 그동안 심리적 저항선으로 여겨졌던 달러당 6.5위안이 무너졌다. 위안화 환율은 지난달 29일 오전 한때 달러당 6.4962위안을 기록, 1993년 이후 가장 낮았다. 위안화는 지난해 6월 9일 중국 인민은행이 위안화 환율 변동폭을 확대한 이후 5%가량 떨어졌다. 브라질 헤알화 환율도 지난달에만 3.56% 하락해 지난해 9월(3.7%) 이후 7개월 만에 월간 최대폭의 하락률을 기록했다.

호주 달러화 환율도 지난달 27일 달러당 0.9262호주달러를 기록해 1983년 12월 변동환율제 도입 이후 최저 수준이었다. 말레이시아 링깃화 환율은 지난해 12월 말 대비 3.8%, 인도네시아 루피화는 4.6%, 태국 밧화 환율은 0.8% 하락했다. 국제금융센터 측은 “이미 역사적 강세 수준에 도달한 아시아 통화의 환율이 최근까지도 큰 폭의 조정 없이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흥국 통화의 동반강세 배경으로는 ▲미 달러화 약세와 풍부한 달러 유동성 ▲경기 회복세에 따른 외국자본의 유입 지속 ▲당국의 인플레 압력 대응을 위한 환율정책의 변화 등이 꼽혔다. 특히 아시아 통화의 초강세를 주도해온 국가 상당수가 대규모 무역흑자를 기록하고 있어 이들 국가의 환율 하락을 더욱 부채질하고 있다.

향후 환율 전망도 강세가 예측되고 있다. 이들 국가의 경상수지 흑자가 확대되고 있으며, 물가를 잡기 위한 당국의 기준금리 인상과 저(低)환율 정책이 지속될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이다. 다만 환율 조정 심리와 고(高)유가에 따른 경상수지 악화 가능성, 오는 6월 말 2차 양적완화 종료에 따른 미 달러화의 약세 둔화 등으로 신흥국의 환율 하락은 어느 정도 속도 조절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정영식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미 달러의 유동성 축소 시기와 미 연준의 금리인상 시기에 따라 신흥국 통화의 약세 전환이 결정될 것”이라면서 “올해 말 미국의 출구전략에 대한 기대감이 점차 확산되면서 신흥국의 통화 가치가 꺾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편 우리나라 정부는 원화 강세와 고유가 등으로 지난해 말 5%로 제시했던 경제성장률을 4% 후반으로 낮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물가도 당초 3% 전망에서 3% 후반대로 수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
2011-05-02 15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