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기름값 환원’ 충격 없어야할텐데…”

정부 “’기름값 환원’ 충격 없어야할텐데…”

입력 2011-07-06 00:00
업데이트 2011-07-06 10: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부가 7일로 예정된 ‘기름값 환원’을 앞두고 시장의 흐름을 주시하며 긴장하고 있다.

석유제품 유통시장에 혼란을 주지않고 소비자에게도 충격이 미치지 않는 ‘연착륙’ 기대가 얼마만큼 실현될지 장담할 수 없어서다.

그러나 일단 정부는 여러 정황상 큰 혼란과 충격없이 연착륙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물론 기대섞인 예측이다.

정부가 정황으로 내세우는 것은 정부 쪽의 국제 원유가격 안정 및 국내 석유제품 가격 안정을 위한 비축유 방출과 유통 문란행위 단속, 정유업계(GS칼텍스)의 단계적 가격 환원 방침, 주유소들의 소비자 부담완화 노력 선언이다.

국제유가가 대체로 하향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 역시 정부의 기대섞인 예측을 이끄는 근본 배경으로 자리잡고 있다.

실제로 5일 거래된 두바이유 현물 거래가격은 전일보다 배럴당 1.05달러(0.98%) 내린 105.10달러를 기록했다.

지식경제부 관계자는 6일 “오늘 정유사들에 소통 채널을 통해 석유제품 유통과정에서 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대한 협조를 부탁한다는 취지를 전달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면서 “정부, 정유사, 주유소들이 각기 얘기한대로만 잘 실행한다면 일선 주유소에서 단박에 ℓ당 100원이 오르는 일은 없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특히 “GS칼텍스가 단계적으로 환원한다고 한 만큼 시장원리상 다른 정유사들이 (그보다) 비싸게 팔 수가 있겠느냐”면서 정유업계 전체로 단계적 환원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앞서 김정관 지경부 2차관은 4일 기자간담회에서 “시장원리에 따라 SK에너지 등 다른 정유사도 GS칼텍스의 방침을 따라올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무엇보다 정유사들은 정부 인사들의 이런 발언을 사실상 공개 압박으로 받아들이면서 큰 부담을 느끼는 분위기이다.

그런 분위기는 특히 최중경 지경부 장관이 지난달말 하반기 경제운용방안 브리핑과 기자간담회를 통해 ‘정유사들이 부담을 느끼면서 아름다운 마음으로 기름값을 연착륙시키기를 바란다’는 메시지를 공개적으로 내놓았을 때 절정에 달했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