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년만의 신용·경제 분리-新농협 개혁과 과제] (상)일자리 창출 주역으로

[50년만의 신용·경제 분리-新농협 개혁과 과제] (상)일자리 창출 주역으로

입력 2012-03-22 00:00
업데이트 2012-03-2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농협 위탁 한우 200마리 키우고 억대 연봉 받아요”

‘50년 역사’의 농협이 지난 2일 신용(금융)사업과 경제(유통)사업으로 분리됐다. 자유무역협정(FTA) 시대를 맞아 유통업계뿐 아니라 금융업계의 변화로 이어질지 업계는 주목하고 있다. 신·경 분리 이후 농협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와 바람직한 변화 방향을 세 차례의 시리즈를 통해 짚어 본다.
이미지 확대
고명재 횡성축협 조합장이 21일 강원도 횡성군 횡성읍의 생축장에서 개량을 위해 사육 중인 한우들을 살펴보고 있다.  농협중앙회 제공
고명재 횡성축협 조합장이 21일 강원도 횡성군 횡성읍의 생축장에서 개량을 위해 사육 중인 한우들을 살펴보고 있다.
농협중앙회 제공


21일 강원도 횡성군 서원면에서 만난 오효석(49)씨는 연봉 1억원이 넘는 월급쟁이 축산농이다. 서원농협의 소 200마리를 위탁사육하고, 마리당 한달에 5만원씩 수당을 받는다. 농협은 소와 사료를 모두 제공하고, 소고기 판매도 책임진다. 같은 마을 김정수(58)씨는 일꾼을 구하기 어려워 몇 년 전부터 놀리던 논을 밭으로 바꿔 고사리를 심었다. 서원농협이 말린 고사리를 전량 수매, 가공해 판 덕에 벼를 재배할 때보다 면적당 2.5배 소득을 올린다. 횡성축협 황혜정(여·38)씨의 직장은 횡성한우 직판장인 한우프라자. 그는 횡성한우의 유통과 차별화 지점을 연구하고, 한우를 기반으로 지역 관광자원을 살릴 계획을 수립한다.

서원농협과 횡성축협은 신용사업과 분리해 새로 출범한 경제사업의 모범사례로 꼽힌다. 김수공 농협경제 대표가 “23개국 협동조합을 찾아가 비교해 봤지만, 서원농협이나 횡성축협과 같은 우수사례를 찾기 어려웠다.”면서 “지역 특성에 맞게 농가의 안정적인 수익원과 일자리를 창출한 이들에게 배워야 한다.”고 극찬한 곳이다.

직원 46명의 서원농협은 인구 2300여명의 면 지역에 위치한 소규모 농협이지만, 4년 연속 농식품 판매로 300억원 이상 매출을 기록했다. 잡곡을 가공하는 선식공장, 나물을 삶는 가공 공장, 된장 생산능력을 갖췄고, 서울과 수도권 23곳에 직거래 장터를 연다. 서원면을 넘어 횡성군 전체 잡곡 재배 농가에 평균 가격의 5% 웃돈을 주고 계약재배를 하는 수매력을 갖추고 있고, 700마리의 한우 위탁사육 사업도 벌인다. 1998년 과도한 부실채권 때문에 합병대상이던 농협을 맡아 오늘날의 서원농협으로 키워 낸 이규삼 조합장은 “농민이 생산하면, 조합이 모두 팔겠다는 생각으로 종횡무진으로 노력한 결과”라고 말했다.

농협은 전국적으로 현재 10% 수준인 조합 출하물량 판매 비중을 산지와 소비지의 수직계열화를 통해 2020년 54%까지 높인다는 계획이다. 농협이 유통과 판매를 책임지면, 흉작이 들 때는 물론이고 풍작을 이뤄도 가격 폭락 때문에 밭을 갈아 엎으며 하늘 탓, 기후 탓, 나라 탓만 해야 했던 우리 농업의 체질을 바꿀 수 있다고 농협은 기대했다.

물론 농산물 유통 장악력을 높이는 게 쉽지 않다는 걸 서원농협이 이미 체득했다. 이규삼 조합장은 “초기에는 직거래를 하겠다고 새벽 5시에 상경했다가 주변 상인이 노점이라고 신고해 쫓겨났고, 우리 농협 대표상품인 선식이 몸에 좋다고 홍보했다가 식품법 위반으로 검찰 조사도 받았다.”고 털어놨다. 농산물 가공공장 운영과 관련해서는 “그냥 버리던 무청부터 판로를 못 찾던 고사리, 뽕잎, 피마자 잎까지 가공해서 상품으로 변신시키는 가공공장이 농촌의 효자”라면서도 “운영상 어려움 때문에 1998년 전국에 210개이던 농협의 가공공장이 지금은 100여개로 줄었다.”고 안타까워했다.

이런 어려움 속에서도 조합을 키워낼 수 있었던 원동력은 농가의 삶이 바뀌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매출을 높이기에는 대출해 주고 이자를 받는 신용사업에 주력하는 게 좋겠지만, 경제사업이 활성화되면 농가 수익과 일자리가 조금씩 늘어나는 파급력이 생긴다.”고 설명했다.

서원농협 근처 횡성축협 역시 매출의 95%를 차지하는 경제사업을 통해 수익과 일자리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고 있다. 고명재 횡성축협 조합장은 “농가는 생산만 전념하고, 축협은 생축장에서 우수한 수정란을 개발하고 유통과 판매를 전담한다.”면서 “곧 국유지를 개발해 한우 체험을 할 수 있는 관광휴양림을 조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일본 방송국에서 횡성한우의 혈통관리, 사양관리, 브랜드 마케팅 기법을 취재해 갈 정도로 노하우를 인정받고 있다.”면서 “조합의 역할을 통해 지역 농가는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하고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에 믿을 수 있는 식품을 제공받을 수 있다면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인한 고통도 이겨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횡성 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

2012-03-22 17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