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무량판 아파트 더 있었다…도면 검토 부실로 10곳 누락

LH 무량판 아파트 더 있었다…도면 검토 부실로 10곳 누락

옥성구 기자
옥성구 기자
입력 2023-08-09 14:42
업데이트 2023-08-09 14: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화성 비봉지구 A-3BL 단지 포함해 10개
미착공 3개, 시공 중 4개, 준공 3개 단지
안심했던 입주민들, 다시 ‘무량판 포비아’

이미지 확대
지난 1일 오후 경기 오산시 청학동 오산세교2 A6블록 아파트 지하주차장에 잭서포트(하중분산 지지대)가 설치돼 있다. 2023.08.01. 뉴시스
지난 1일 오후 경기 오산시 청학동 오산세교2 A6블록 아파트 지하주차장에 잭서포트(하중분산 지지대)가 설치돼 있다. 2023.08.01. 뉴시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안전점검 대상에서 빠뜨린 무량판 구조 적용 아파트 10개 단지가 추가로 나왔다. 설계도면 등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해당 단지들을 누락했다는 게 이유다.

9일 LH에 따르면 경기 화성 비봉지구 A-3BL 단지를 포함해 지하주차장에 무량판 구조를 적용한 10개 단지가 앞선 긴급안전점검 대상에서 빠졌다.

화성 비봉지구는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이날 건설현장 감리 실태 점검을 위해 찾은 곳이다. LH가 아파트 단지 현황을 점검하는 과정에서 무량판 구조가 적용됐는데 안전점검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것을 확인했고, 원 장관은 이를 보고받고 크게 화를 낸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지난 4월 발생한 인천 검단 아파트 지하주차장 붕괴 사고를 계기로 LH가 2017년 이후 발주한 아파트를 전수조사한 결과 무량판 구조를 적용한 단지는 91개이고, 이 중에 15개 단지에서 철근 누락이 발견됐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번에 무량판 구조가 적용된 아파트 10개 단지가 추가로 확인됐다. 안전점검 대상이 101개 단지여야 했는데 이를 빠뜨린 것이다. LH 측은 설계도면 등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누락이 있었다고 시인했다.

이번에 무더기로 확인된 무량판 10개 아파트는 미착공 단지가 3곳(1141가구), 시공 중인 단지 4곳(2534가구), 준공 단지 3곳(3492가구)이다. 총 7167가구로 임대 아파트 5296가구, 분양 아파트 1871가구다.
이미지 확대
지난 1일 오후 경기 오산시 청학동 오산세교2 A6블록 아파트 지하주차장에 잭서포트(하중분산 지지대)가 설치돼 있다. 2023.08.01. 뉴시스
지난 1일 오후 경기 오산시 청학동 오산세교2 A6블록 아파트 지하주차장에 잭서포트(하중분산 지지대)가 설치돼 있다. 2023.08.01. 뉴시스
LH가 부실시공을 확인하기 위한 전수조사마저 부실하게 검토하며 철근 누락이 확인되지 않아 안심했던 입주민들은 자신의 아파트에서 철근 누락이 확인되지는 않을까 다시 ‘무량판 포비아’에 휩싸이게 됐다.

다만 LH 측은 무량판 적용 아파트가 추가로 나오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LH는 이번에 추가 확인된 10개 단지에 대해 착공 이전 단지는 구조설계 적합 여부를 확인하고, 착공 단지는 추가 정밀안전진단을 시행한다는 계획이다.

철근 누락이 발견되는 단지는 기존에 공개된 아파트와의 형평성을 고려해 추후 단지명이 공개될 것으로 전망된다. LH는 철근 누락이 발견될 경우 입주민 협의 등을 거쳐 입주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즉각 설계변경 및 보수공사를 진행하고 진행 상황을 투명하게 공개할 예정이다.

아울러 LH는 최근 조사에서 제외된 민간 참여사업 방식 41개 단지도 무량판 구조 적용 여부 등 추가 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이미지 확대
지난 1일 경기 오산시 청학동 오산세교2 A6블록 아파트 지하주차장에 잭서포트(하중분산 지지대)가 설치돼 있다. 2023.8.1. 뉴스1
지난 1일 경기 오산시 청학동 오산세교2 A6블록 아파트 지하주차장에 잭서포트(하중분산 지지대)가 설치돼 있다. 2023.8.1. 뉴스1
세종 옥성구 기자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