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수출 규제 열흘만에 8월 갈륨 가격 22% 급등···“수급 동향 모니터링”

中 수출 규제 열흘만에 8월 갈륨 가격 22% 급등···“수급 동향 모니터링”

곽소영 기자
곽소영 기자
입력 2023-08-09 17:52
업데이트 2023-08-09 17: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 갈륨·게르마늄 수출 통제에
8월 갈륨 22%·게르마늄 7% 올라
비축분 사두려는 기업 움직임 반영
산업부 “수급 동향 모니터링 중”

이미지 확대
한달 간 갈륨·게르마늄 가격 변동 추이
한달 간 갈륨·게르마늄 가격 변동 추이
중국이 자국 공급망을 강화하기 위해 희귀 광물인 갈륨과 게르마늄의 수출 규제 정책을 시행한 지 열흘이 지나면서 갈륨과 게르마늄 시장 가격이 크게 오른 것으로 확인됐다. 중국의 ‘자원 무기화’가 가격 변동성을 키울 것이라는 업계 우려가 현실화될 수 있다는 위기감이 커지는 상황이다.

한국광해광업공단은 지난 3일 기준 갈륨의 시장 가격이 1㎏당 345달러로 한달 만에 22.12%가 급등했다고 9일 전했다. 지난달 3일 갈륨 가격은 282.5달러로 3월 이후 5개월만에 300달러 선에 재진입한 것이다.

올해 1월 3일 290달러였던 갈륨 가격은 2월 310달러, 3월 305달러를 기록한 이후 4~6월 285달러를 유지하는 등 안정세를 보였다. 그러다 지난달 3일 중국 상무부가 갈륨과 게르마늄 관련 품목을 자국의 허가 없이는 수출하지 못하게 하는 수출 규제 정책을 8월부터 시행하겠다고 발표한 직후 갈륨 가격이 치솟은 것이다.

게르마늄 시장 가격 역시 지난 3일 기준 1㎏당 1440달러로 고공행진 중이다. 1월 1150달러였던 게르마늄은 2월 1220달러, 3월 1230달러 등 다달이 증가하다 8월 1400달러대의 고점을 찍었다. 한달 전인 7월(1340달러)에 비교하면 7.46%가 오른 가격이다.

이같은 급등은 수출 규제가 본격적으로 시행되기 전 미리 비축분을 사놓으려는 기업들의 움직임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하지만 앞으로 중국의 통제 정책이 얼마나 엄격하고 길게 작용할지 모르는 상태라 업계의 불확실성은 여전히 큰 상황이다.

지난달 국내 주요 갈륨 및 게르마늄의 수입·수요 기업 약 400곳에 대한 산업통상자원부의 수급 동향 조사 결과 수요 기업들은 향후 갈륨과 게르마늄 가격이 상승하고 통관에 애로사항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를 가장 크게 내비친 것으로 확인됐다.

산업부 역시 갈륨 및 게르마늄의 가격 불안정성에 대비해 규제 정책이 시행된 이후 각 기업들에 비축분과 수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애로사항을 파악 중이다. 현재 산업부와 유관기관들은 공급망협의체를 구성하고 글로벌 수급 정보 공유와 비축분 조달, 재자원화 등을 지원하고 있다.

갈륨과 게르마늄은 반도체와 태양광 등 차세대 산업의 핵심소재다. 중국이 전 세계 갈륨 생산량의 98%, 게르마늄 생산량의 68%를 차지한다. 우리나라는 갈륨의 수입 물량 중 75%, 게르마늄의 수입액 중 54%를 중국에 의존하고 있다.
세종 곽소영 기자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