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저·반도체 수입액 증가… 한국, 中보다 日서 무역적자 더 냈다

엔저·반도체 수입액 증가… 한국, 中보다 日서 무역적자 더 냈다

곽소영 기자
곽소영 기자
입력 2023-08-13 18:05
업데이트 2023-08-14 00: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對日 무역수지 2개월 연속 적자
中 제치고 무역적자 상대국 2위
반도체·철강 등 대일 수입 많아
화이트리스트 복원 효과 주목

이미지 확대
지난달 우리나라의 무역적자 상대국 순위에서 일본이 중국을 제치고 2위를 기록한 것으로 13일 파악됐다. 지난 6월에 이어 7월까지 두 달 연속으로 대(對)일본 무역적자가 대중국 무역적자보다 컸다.

일본의 반도체 활황과 엔저(엔화 가치 하락)가 겹치며 벌어진 현상으로 평가된다. 나아가 지난달 21일부터 일본 정부가 한국의 화이트리스트(수출 심사 우대국) 복원을 시행 중인데, 이 조치가 한일 간 무역 흐름의 변화로 이어질지도 주목된다.

산업통상자원부의 ‘7월 수출입동향’을 보면 지난달 대일 무역수지 규모는 15억 3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6월에도 대일 무역적자는 17억 8000만 달러로 대중 무역적자 13억 달러를 뛰어넘었다. 반면 지난달 대중 무역적자는 12억 7000만 달러로 지난 2월 이후 최소치로 줄어들면서 대일 무역적자가 두 달 연속 대중 무역적자 규모를 넘어서게 됐다. 무역적자 규모 측면에서 일본은 2021년까지 단골로 1위를 유지했지만 올해 1월부터 대중 적자가 증가하면서 일본과 중국 간 역전이 일어났다. 올해 1~5월 일본은 중동과 중국에 이어 무역적자 규모 3위였다. 그러나 중국을 상대로 한 무역적자 규모가 점차 줄어들면서 일본이 6월부터 다시 적자 상대국 2위를 회복하게 됐다.

대중 적자는 지난 1월 39억 3000만 달러를 기록했지만 지난달 12억 7000만 달러로 규모가 약 3분의1로 줄어들었다. 에너지 수입 상대국인 중동의 경우 지난달 48억 4000만 달러의 적자를 기록했다.

불황이었던 반도체 시장이 서서히 살아나면서 대일 반도체 수입이 늘어난 것이 대일 무역적자 확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대일 반도체 수입액은 지난달 3억 6700만 달러로 6월(5억 2300만 달러)보다 소폭 하락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지난 5월 4200만 달러에 그쳤던 대일 반도체 검사기기 수입액 역시 지난달 9600만 달러로 증가했다. 일본의 통화 완화 정책으로 엔저 현상이 이어지자 철강 등 일부 제품을 일본에서 수입해 오는 비율이 증가한 것도 대일 수입액을 증가시켰다.

엔저는 석유화학·컴퓨터 관련 수출품의 가격 경쟁력을 떨어뜨려 대일 수출을 부진하게 만드는 요인으로도 꼽힌다. 지난달 대일 수출액은 23억 4800만 달러, 수입액은 38억 7500만 달러다. 한일 간 상호 화이트리스트 해제 조치가 이뤄지기 전인 2018년 7월 수출액 25억 4200만 달러, 수입액 45억 8500만 달러에 견주면 양국의 교역이 과거보다 위축된 상태인 셈이다.

산업부는 “일본 화이트리스트 복귀를 통해 수출 활력을 재건했다”며 “수출 플러스 전환을 달성하기 위해 총력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세종 곽소영 기자
2023-08-14 6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