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비수도권 제조기업, 혁신추진에 거리감”…비수도권 기업, 혁신인프라 부족

무협, “비수도권 제조기업, 혁신추진에 거리감”…비수도권 기업, 혁신인프라 부족

이제훈 기자
이제훈 기자
입력 2023-08-24 11:00
업데이트 2023-08-24 11: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개회사 하는 정만기 부회장
개회사 하는 정만기 부회장 개회사 하는 정만기 부회장
(서울=연합뉴스) 정만기 한국무역협회 부회장이 7일 서울 강남구 트레이드타워에서 열린 ‘KITA-CII 인도 비즈니스 협력 포럼’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2023.7.7 [한국무역협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끝)
국내 기업 절반은 혁신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정작 비수도권과 제조업을 중심으로 혁신 추진에 거리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수도권 기업은 혁신인프라가 부족하다고 생각했다.

한국무역협회는 24일 국내 기업 1021개사를 대상으로 지난 5월31일~6월13일까지 실시한 ‘지역 산업별 혁신·DX 실태 설문 조사’결과, 혁신 생태계 조성에 대해 응답자 절반 이상(58.1%)이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매우 필요하다’고 응답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우리 산업 전반의 혁신 수준을 5단계(준비 중-도입 시작-적용 중-정착-활발히 진행)로 구분했을 때 응답 기업의 28.6%는 혁신 도입 수준을 ‘적용 중(3단계)’로 평가했다고 소개했다.

무협은 대기업의 경우 지역 내 혁신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39.1%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면서 이는 대기업의 경우 인적·물적 혁신역량을 자체 보유하고 있어 지역 내 혁신 생태계에 대한 의존도가 낮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기업이 체감하는 지역 내 혁신 생태계 수준을 4단계(기초-성장-성숙-완성)로 구분했을 때 응답자의 78.3%가 현재 지역 내 혁신 생태계 수준이 초기(기초·성장) 단계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기업이 체감하는 자사의 혁신 수준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40.4%가 자사의 혁신을 ‘시작은 했으나 진행이 더딘 편’으로 답변했다. 즉 기업 혁신은 초기 단계로 아직 가시적인 성과를 확인하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는 것이다.

산업별로도 혁신의 격차가 두드러졌다. 전자·전기, IT·통신·콘텐츠 분야 종사자는 자사가 속한 산업의 혁신 상태를 ‘정착~활발히 진행(4·5단계)’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 금속, 석유화학, 섬유·패션 분야는 응답 기업의 절반 이상이 ‘준비 중~도입시작(1·2단계)’에 머물고 있다고 답했다.

기업이 혁신을 추진하는 데에서 느끼는 주요 애로사항은 수도권과 비수도권 소재 기업 모두 공통적으로 ‘자금 부족(49.4%)’을 꼽았으나 비수도권 기업은 ‘수도권 대비 인프라와 정보 부족(39.2%)’을 2순위로 응답해 수도권에 편중된 지원 정책에 대한 애로가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가장 기대하는 혁신 지원 정책으로는 ‘지역별 주력 산업 개편 등으로 인한 지자체 및 정부의 추가 지원(43.5%)’을 꼽았다. 특히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지자체 및 정부의 추가적인 지원’ 응답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비수도권 기업은 정부 정책을 통해 ‘관심 인구 유치를 통한 지역 내 인력난 해소(21.6%)’와 ‘전후방 밸류 체인을 고려한 패키지형 지원으로 연관 산업 동시 성장(18.7%)’을 기대하는 응답 비율이 수도권(각 13.9%, 16.9%)에 비해 높았다.

기업은 지역의 혁신 성장을 추진하기 위해 필요한 지원으로 자금 지원(46.1%), 인력 지원(9.6%), 정보 제공(9.4%), 인프라 구축(6.1%), 규제 철폐(5.2%)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정만기 한국무역협회 부회장은 “우리나라는 혁신 기업 수나 혁신 기업의 고용에서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면서 “지역 내 효율적 혁신 생태계 조성을 통한 기업별 성공 사례를 적극 발굴하여 세미나, 컨설팅 등을 통하여 확산해 가겠다”고 말했다.
이제훈 전문기자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