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 칼럼] 당당해지려면 욕심부터 버려야 한다/박승복 샘표식품 회장

[CEO 칼럼] 당당해지려면 욕심부터 버려야 한다/박승복 샘표식품 회장

입력 2011-11-21 00:00
업데이트 2011-11-2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박승복 샘표식품 회장
박승복 샘표식품 회장
짧든 길든 살아온 생을 돌이켜보면 유독 생생하게 떠오르는 기억이 있게 마련이다. 나처럼 살아온 세월이 길면 ‘어떤 한 시절’이 뇌리에 깊이 남아 있을 수도 있다. 내게는 마흔다섯에서 쉰넷까지, 국무총리를 보좌하면서 나랏일을 맡은 10년간(1966~1976년 국무총리실 정부 비서관, 행정조정실장 등 역임)이 그런 시간이다.

그 시절, 나는 국무총리실 정무 비서관으로 일했다. 정무 비서관은 일종의 조정자였다. 정부 내 각 부처의 업무는 태반이 타 부처와 협의 없이는 이루어질 수 없는데, 관계 부처 간의 이익 다툼이나 책임 소재를 따지다가 일이 지연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했다. 그럴 때마다 그것을 조정하는 일이 바로 내 역할이었다.

주어진 역할이 그러하니 최대한 공정하게 조정하기 위해서는 나름의 원칙이 필요했다. 내가 원칙으로 삼은 것은 다름 아닌 공익이었다. 항상 ‘지금 하고자 하는 일이 나라를 위해 필요한 일인가 아닌가?’를 자문해 보고는 했다.

그렇게 물어보고 판단이 서면 주저하지 않고 실행에 옮겼다. 당시 우리가 행하고 결정하는 모든 것은 한국의 역사를 바꾸는 중요한 일들이었다. 그중에서도 지금까지도 선명하게 기억나는 것이 소양강댐(1967년 4월 착공해 1973년 10월 준공·댐 높이 123m, 제방길이 530m, 수면면적 70㎢, 총저수량 29억t) 건설을 검토하던 당시 건설부와 상공부가 댐의 규모를 두고 벌인 부처 간의 힘겨루기를 조정했던 일이다. 소댐은 발전용으로 상공부 소관이었고, 중댐이나 대댐은 다목적으로 건설부 소관이었기에 서로 주도권을 가지기 위해서 싸우고 있는 상황이었던 것이다.

한데 당시 소양강댐 건설 사업은 국가의 자존심이 걸린 중대 사안이었다. 정부가 세계은행에 댐 건설비용을 요청했다가 ‘한국 같은 작은 나라에서 어찌 댐을 만들 수 있겠느냐.’며 건설비용 지원을 거절당하는 통탄스러운 일이 있었던 상황이었다. 국가적인 프로젝트로 댐 건설을 추진하고 있는 터에, 각 부처가 싸움을 하고 있으니 실로 답답한 일이 아닐 수 없었다.

한시라도 빨리 이 일을 조정해야 했다. 우선 담당자들을 불러 의견을 들었고, 다각도로 조사를 벌였다. 하지만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결국 나는 아무에게도 알리지 않고 관계기관의 서류를 압류하여 조사하기에 이르렀다.

그 조사에서 결정적인 증거가 포착되었다. 한국전력에서 유엔개발회의(UNDP)에 의뢰하여 댐 크기와 관련된 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담은 서류가 나온 것이었다. 서류에는 중장기적 전망으로 봤을 때 소댐은 의미가 없고 최소한 중댐, 재정이 가능하다면 대댐을 건설해야 한다는 의견이 담겨 있었다.

이후 소양강댐은 다목적 중댐으로 순조롭게 건설되었다. 이 소양강댐은 우리의 힘으로 만든 최초의 흙댐으로 역사에 남게 되었을 뿐 아니라, 세계은행이 우리의 댐 건설과정을 지켜보면서 재정적 지원을 하는 것으로 입장을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 논의에 참여한 나로서는 보람된 일이 아닐 수 없었다. 어쨌든 그때 모든 일들이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었던 건 사사로운 마음이 없이 일을 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유혹이 뻗쳐올 때마다 항상 “남을 이기려는 자는 먼저 자기 욕심부터 물리쳐야 한다.”고 했던 옛 성현의 말을 곱씹고는 했다. 살다 보면 굳이 말하지 않아도 알 수 있는 것들이 몇 가지 있다. 그중 하나가 부정부패가 있는 곳에는 반드시 검은돈이 오가게 마련이고, 또 그 검은돈의 유혹에 빠지면 더 큰 수렁으로 빠지게 된다는 것이다.

그 한순간 조금만 마음을 다잡는다면 평생을 후회할 수렁으로 스스로를 밀어넣지 않을 수 있고, 내가 하는 일에 대해 한치의 부끄러움 없이 당당해질 수 있다.

‘당당해지려면 먼저 욕심부터 물리쳐라.’

이 마음은 내가 공직에 몸담고 있던 동안이나, 공직에서 물러나 샘표를 경영하면서 직원들과 더불어 함께 성장하는 가족 같은 회사를 만드는 귀한 힘이 되어주었다. 그리고 지금까지의 내 인생을 돌아보며, 내 삶을 부끄럽지 않게 만들어준 가장 중요한 힘이었다.
2011-11-21 3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