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가영의 장호원 이야기] 경계에서

[신가영의 장호원 이야기] 경계에서

입력 2019-09-24 17:28
업데이트 2019-09-25 02: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시작은 측은함이었다.

우리 집은 울타리 경계가 불분명한 시골집이라 드나드는 동물이 많은 편이다. 닭장은 닭뿐만 아니라 참새를 비롯한 작은 새들이 드나들며 먹이를 챙겨 먹느라 늘 소란스럽고, 마당엔 키우는 개뿐만 아니라 지나다니는 동네 개들이 수시로 드나들어 아침마다 개똥 치우는 게 일이다. 9마리 고양이들은 텃밭 사이를 뛰어다니며 놀다가 작은 새 사냥하고 쥐 잡아 오고 숨어 있던 뱀도 잡아 오고 그런다. 마을엔 가끔 순찰하듯 지나가는 검은 고양이가 있는데 주인이 있어서 그런지 맛난 간식을 주어도 본체만체 지나가 버리고, 길고양이들은 사료를 챙겨 주면 먹기만 하고 볼일 바쁘다는 듯 도망가 버린다.

어느 날 열려 있는 현관문 앞에 앉아 집 안을 유심히 바라보는 어린 고양이가 나타났다. 얼마나 안에 들어오고 싶어서 그리 쳐다볼까? 따뜻하고 편하게 노는 우리 고양이들이 부러운가? 별스럽게 생각돼 사료를 따로 챙겨 주기 시작했다. 멋진 줄무늬에 야생 길고양이다운 날카로움도 지니고 있어 이름을 고랭이라 지어 주었다. 녀석은 수시로 나타나 배를 채웠고, 동네 검은 고양이 공격에 쫓겨 다니곤 했지만, 우리 고양이들과는 잘 지내는 듯 보였다. 그런 고랭이가 몇 달 지나 새끼 고양이를 데리고 왔다. 사료를 챙겨 주었지만 모자랐는지 대담하게 집 안에 놔 둔 고양이 사료를 훔쳐 먹기 시작하더니 상황이 이상하게 바뀌어 갔다. 우리 고양이들이 긴장해 놀라는 일이 많아졌고 자유롭게 오고 가던 현관을 무서워서 나가지 못하고 깊은 상처가 많아져 갔다. 집 안에 몰래 들어와 영역 표시하는 걸 보고서야 심각한 상황이 됐음을 뒤늦게 깨달았다.
이미지 확대
신가영 화가
신가영 화가
측은함이란 모호하게 곁을 내어주는 것이었다. 그냥 지나가는 곳이 아닌 살아갈 곳을 찾던 고랭이에게 경계는 이미 허물어졌다. 사람이 보지 않는 곳에서 우리 집 고양이들은 도망가기 일쑤였다. 상황을 지켜보는 마음이 영 간단치 않다. 무조건 쫓아낸다고 쫓겨날 그들이 아니고 받아들인다고 받아들여지는 상황도 아니다. 모호한 경계 아래 영역 싸움은 분란을 일으키고 상처를 낳았다. 모두 우리 안의 문제다. 이미 그들도 우리 안에서 함께 살아가는 존재가 됐다.

오늘도 고랭이는 몰래 들어와 사료를 먹는다. 적당히 헛기침 한 번 크게 하니 짐짓 도망간다.

2019-09-25 33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