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남원의 도자 산책] ‘판판한’ 식기, 그리고 허세/이화여대 미술사학과 교수

[장남원의 도자 산책] ‘판판한’ 식기, 그리고 허세/이화여대 미술사학과 교수

입력 2023-08-22 00:09
업데이트 2023-08-22 00: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장남원 이화여대 미술사학과 교수
장남원 이화여대 미술사학과 교수
“부르주아는 판판한 식기를 가지고 싶어 한다. (중략) 그가 판판한 식기를 갖게 된 날 오랫동안 만나지 않던 사람들을 찾아다니며 자기가 훌륭한 식기를 구했다고 알리고, 조촐하지만 저녁을 함께 먹자고 초대한다.”

파리에서 태어나 글로 명성이 자자했던 루이세바스티앵 메르시에(1740~1814)가 18세기 후반 파리를 관찰하며 기록한 ‘파리의 풍경’의 한 대목이다. ‘판판한 식기’는 아마도 메인 요리를 담을 수 있는 넓고 납작한 도자기 접시로 추정된다. 그리고 그들은 왕족들이 그랬던 것처럼 자신들의 그릇에 가문의 문장(紋章)을 넣어 과시하는 데 비용을 아끼지 않았다. 마치 저녁식사의 초대 이유가 그릇과 도자기를 자랑하고 싶어서이기라도 하듯.

파리만의 현상이었을까. 이미 17세기 이후 유럽 각국에서는 동서양 해상무역의 발달로 중국이나 일본 도자기의 유입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수집 열풍이 일었다. 건물 실내의 장식으로 쓰였고 곳곳에 ‘도자기의 방’들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또 1710년 독일 마이센이나 1756년 이후 프랑스 세브르 등지에서는 고령토를 활용하면서 오랫동안 선망했던 동양의 도자기에서나 가능했던 희고 단단한 백자의 생산이 가능해졌다.
이미지 확대
프랑스 문장을 넣은 중국산 수출용 도자기들. 영국박물관 소장.
프랑스 문장을 넣은 중국산 수출용 도자기들. 영국박물관 소장.
그러니 왕실이나 귀족의 전유물이었던 장식 가득한 백자들은 부르주아 같은 새로운 물질문화의 소비자들에게는 선망의 대상이었을 것이다. 곧 도래할 프랑스대혁명의 전조처럼 도자기를 통해 표출된 그 욕망은 아슬아슬했다.

올해 초 모 경제지의 리포트에서 ‘그릇에 미친 사람들’이라는 기사를 보았다. 우리나라 이야기다. 19세기 초 베토벤은 허세에 물든 궁정 사람들을 ‘중국 도자기에 미친 사람들’이라고 꼬집은 적이 있는데, 200여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하나에 몇백만원인 도자기를 사기 위해 대기하는 사람들이 있다.

우리 백화점 도자기 매장의 대부분을 해외 유명 브랜드가 점유하게 된 지도 이미 오래다. 셀럽들은 매체를 통해 그런 도자기들이 드러나는 이미지를 그럴듯하게 만들어 내고 있다. 그릇을 통한 ‘구별짓기’가 여전히 계속되고 있는 듯하다.

하지만 그러든지 말든지. 도자기 산업은 다변화됐고, 우리는 단 몇천, 몇만원에도 멋지고 개성 넘치는 ‘판판한’ 그릇들을 살 수 있는 시대를 살고 있지 않는가. 오늘 당신의 식탁에 멋지게 펼쳐 보시길.
2023-08-22 26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