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꽃밭에서/황수정 논설위원

[길섶에서] 꽃밭에서/황수정 논설위원

황수정 기자
황수정 기자
입력 2019-05-09 17:10
업데이트 2019-05-10 03: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버지와 꽃을 심었던가. 그런 날은 있었던가 없었던가. 여덟 살 땐가 코스모스 까만 씨앗을 동네 어귀에 함께 심었던 기억이 가물거린다. 새마을운동이었던 것 같다. 봄비에 땅이 젖으면 동네 제일 어른이 집집이 돌며 꽃씨 봉투를 숙제처럼 나눠주고는 했다.

시골집 창고를 허문 자리에 걸음이 느려진 아버지가 마른 흙땅을 달래가며 나무를 심으신다. “봄꽃이야 복숭꽃이 으뜸이지.” 치렁치렁한 가지에 홍도화 붉은 꽃이 금방이라도 벙글 기세다. 야무진 묘목 한 그루가 겨우 커피 한 잔 값인 줄을 처음 알았다. 어린 나무 뿌리를 구슬려 앉히는 아버지의 뒷등이 한 뼘이나 좁아진 것도 처음 보았고.

담벼락에는 황금측백을 두르시겠다기에 심어야 좋을 자리마다 꾹꾹 돌을 눌러 두고만 왔다. 까맣게 잊었더니 전화를 하셨다. “그대로 심었더니만 꽃밭이 멋드러지게 어울렸구나.” 나는 돌만 놓고 왔는데, 아버지는 종일 나하고 같이 나무를 심으셨다.

해마다 피는 꽃은 그 꽃인데 꽃을 보는 사람은 그대로가 아니라네. 멀리 당나라 시인의 노래가 나는 왜 생각이 났는지. 나무 심는 아버지 등 뒤로 발목이 아프게 달려가고 싶겠지. 어느 먼 늦봄에 측백나무 그늘에 서면.

sjh@seoul.co.kr

2019-05-10 29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