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평균 기대수명 80세..공동 20위

한국인 평균 기대수명 80세..공동 20위

입력 2011-05-14 00:00
업데이트 2011-05-14 16: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동 1위, 83세 日.산마리노..북한은 70세

한국인의 평균 기대수명이 세계보건기구(WHO) 193개 회원국 가운데 20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13일(현지시각) 세계보건기구(WHO)가 발표한 ‘2011년 세계보건통계 보고서’에 따르면 2009년 출생아를 기준으로 한 한국인의 평균 기대수명은 평균 80세로 조사 대상 193개국 가운데 영국, 독일, 핀란드 등과 함께 20위를 차지했다.

성별로는 남성의 평균 기대수명이 76세로 작년 조사 때보다 1살 늘어났고, 여성은 지난해와 같은 83세였다.

북한의 평균 기대수명은 70세(남 67세, 여 72세)로 작년 조사보다는 3살이 늘어났지만, 남북한이 속한 서태평양 국가(Western Pacific Region) 평균 75세(남 72세, 여 77세) 보다는 여전히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대상국 중 기대수명이 가장 긴 나라는 ‘장수국가’ 일본(남 80, 여 86)과 산마리노(남 82, 여 85)로 평균 83세였다.

호주와 아이슬란드, 이탈리아, 스위스 등 9개 나라는 평균 기대수명이 82세인 것으로 조사됐고, 캐나다와 프랑스, 뉴질랜드, 노르웨이, 네덜란드 등 8개국은 평균 81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별로는 고소득 국가군의 평균 기대수명이 한국과 같은 80세, 저소득 국가군은 57세였고, 지역별로는 미주지역이 76세, 서태평양과 유럽 지역이 각각 75세인 반면 아프리카 지역은 54세였다.

그런가 하면 대부분 국가에서 평균 기대수명이 증가세를 보였지만 이라크의 기대수명은 66세로 2000년보다 2살 적어졌고,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기대수명은 54세로 지난 1990년의 63세보다 무려 19살이나 감소했다.

각국에서 5세 이전에 사망하는 유아의 숫자는 지난 2009년 현재 약 810만명으로, 지난 1990년의 1천240만명과 비교해 3분의 2 수준으로 감소했으며 감소폭도 2000년대 이후 확대된 것으로 분석됐다.

이처럼 유아사망률이 급감한 것은 최근 들어 각국에서 건강.보건 분야에 대한 지출과 의료 프로그램이 활성화되고 국민의 교육수준이 높아졌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WHO는 1인당 보건비용이 고소득 국가의 경우 약 4천590달러로 국내총생산(GDP)의 11% 규모인 반면 저소득 국가는 불과 32달러로 GDP의 5.4% 수준이라며 저소득 국가에서 건강과 보건 분야에 대한 투자가 활성화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