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집행이사회 곧 소집..새 총재 인선 착수

IMF 집행이사회 곧 소집..새 총재 인선 착수

입력 2011-05-20 00:00
업데이트 2011-05-20 07: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립스키 총재대행 “최대한 빨리하겠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조만간 집행이사회를 소집, 새 총재 인선 작업을 본격화하기로 했다.

IMF는 19일 언론에 배포한 이메일 성명을 통해 “새 총재 선출을 위한 절차를 밟기 위해 집행이사회 의장이 각 이사들과 접촉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혀 곧 집행이사회가 소집돼 총재 선출작업에 착수할 것임을 확인했다.

IMF총재는 24명의 집행이사로 구성된 집행이사회에서 회원국별 지분율에 비례한 투표권을 기준으로 해 과반수 찬성으로 선출된다.

2007년부터 IMF 총재로 활동해온 프랑스 출신의 도미니크 스트로스-칸은 14일 미국 뉴욕에서 성폭행 미수 등의 혐의로 체포, 기소됐으며 이후 존 립스키 수석부총재가 총재권한 대행을 맡아 조직을 총괄 운영해오고 있다.

스트로스-칸은 18일 IMF 총재직에서 사임했으며 19일 법원의 보석허가로 풀려났다.

립스키 권한대행은 AP통신과의 회견에서 “가능한 한 신속히 새 총재 인선작업이 이뤄지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앞서 티머시 가이트너 미국 재무장관은 IMF가 투명한 절차에 따라 새 총재를 빠른 시일내에 뽑아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전통적으로 IMF 총재직은 유럽이 맡고 세계은행 총재직을 미국이 맡아왔지만 스트로스-칸의 불명예 퇴진을 앞두고 아시아와 신흥개도국에서는 국제금융시장에서 아시아와 개도국의 위상이 커진 만큼 유럽과 미국 이외의 지역 출신 인사가 IMF 총재를 맡아야 한다는 주장을 펴 왔다.

IMF의 187개 회원국 가운데 단일 국가로는 미국이 17% 이상의 IMF 지분을 보유, 최대의 투표권을 확보하고 있다. 또 유럽국가들의 지분을 모두 합칠 경우 미국의 지분을 능가한다.

IMF에서 주요 의사결정이 내려지려면 85%의 찬성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미국과 유럽은 실질적인 거부권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미국 재무부의 라엘 브레이너드 국제담당 차관은 “미국으로서는 아직 특정 후보에 대한 지지 또는 반대 입장을 정한 것은 없으며, 가능한한 빠른 시일내에 투명한 절차를 통해 새 총재를 선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IMF 주변에서는 미국이 대외적으로는 중립적인 태도를 보이면서도 막후에서 유럽 측과 협의하면서 새 총재 인선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개도국 가운데 중국과 인도, 브라질, 러시아 등 이른바 ‘브릭스’ 국가의 지분 합계도 15%에 육박하기 때문에 일부 개도국의 지원을 받으면 거부권 행사도 가능하지만 미국과 유럽에 맞서 단합된 목소리를 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