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령 사회 일본의 그림자] 젊은층 절반 조기퇴직·미취업

[초고령 사회 일본의 그림자] 젊은층 절반 조기퇴직·미취업

입력 2012-03-20 00:00
업데이트 2012-03-20 01: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졸자 68% 실업자 상태…대학·전문대 중퇴도 7만명

일본에서 65세 고용 의무화가 추진되고 있는 반면 고교와 대학 출신 젊은 층의 취업 상황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내각부의 조사 결과 2010년 봄에 대학이나 전문대를 졸업한 56만 9000명 가운데 19만 9000명이 이미 직장을 그만둔 것으로 나타났다. 졸업 후 취업을 하지 못하거나 아르바이트를 하는 사람은 14만명, 대학과 전문대를 중퇴한 사람은 6만 7000명이었다. 이는 대학과 전문대 출신 가운데 절반을 훨씬 넘는 수가 조기에 직장을 퇴직하거나 미취업 상태라는 것을 의미한다.

고교 출신자는 세 명 중에 두 명꼴인 68%가 조기 퇴직했거나 미취업 상태다. 졸업자 18만 6000명 가운데 이미 직장을 그만둔 사람은 7만 5000명에 이른다.

일본 고교와 대졸자의 취업 내정률이 80∼90% 수준이지만, 실제 취업 상황은 전혀 다른 양상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실제로 후생노동성과 문부과학성이 2010년 봄 당시 고교와 대학 졸업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취업 내정률은 대졸자가 91.8%, 전문대 졸업자가 87.4%, 고졸자가 93.9%였다.

이번 내각부의 조사는 모든 학교 출신을 대상으로 취직한 뒤의 상황을 포함한 것이어서 젊은이의 고용실태가 상당히 심각한 상황에 빠져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에 대해 내각부는 “취직해도 조기에 퇴직하는 경우가 늘고 있어 이런 조사결과가 나온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청년 실업률은 10% 안팎으로 전체 실업률의 두 배를 넘는 수준으로만 발표된다. 파트타임으로 생계를 꾸려가는 소위 ‘프리터족’이 해마다 급증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조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대학에선 ‘슈카쓰’(就活)로 불리는 취직 경쟁이 치열하다. 늦어도 3학년부터 본격적인 취업 경쟁에 뛰어드는 게 보통이다.

도쿄 이종락특파원 jrlee@seoul.co.kr

2012-03-20 18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