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美 백만장자 170만명 증발, 세계가 비슷…한국은 4만여명 줄어

지난해 美 백만장자 170만명 증발, 세계가 비슷…한국은 4만여명 줄어

임병선 기자
입력 2023-08-16 04:48
업데이트 2023-08-16 14: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 美 백만장자 170만명 증발, 세계적으로 비슷…업데이트합니다.
이미지 확대
연합뉴스
연합뉴스
지난해 미국에서 자산 100만 달러(약 13억 3000만원) 이상 소유한 백만장자 숫자가 170만명이나 급격히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125만 4000명으로 일년 전의 129만명에서 4만명남짓 줄어든 데 그쳤다.

투자은행(IB) UBS와 크레디트스위스의 보고서를 인용한 ㅁ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만이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부(富)의 감소 현상이 두드러졌다고 1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에서는 자산 1억 달러(약 1330억원) 이상인 슈퍼리치도 이 같은 흐름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 지난해 1억 달러 아래로 자산이 감소한 미국의 슈퍼리치는 1만 7260명에 이르렀다.

고소득층의 자산 감소는 주식 등 각종 자산시장의 침체가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코로나19 이후 경제 환경 변화 탓에 고소득층도 저소득층 못지않게 큰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리치세션’(Richcession) 예고와 부합하는 현상이다. 이 신조어는 부자를 뜻하는 ‘리치(Rich)’와 불황을 의미하는 ‘리세션(Recession)’을 조합한 것이다.

리치세션은 미국에서 가장 두드러졌지만, 미국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동시에 발생했다는 것이 UBS와 크레디트스위스 소속 경제학자들의 지적이다.

지난해 전 세계 자산 규모는 11.3조 달러(2.4%)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포천이 전한 데 따르면 미국이 가장 큰 타격을 입어 5.9조 달러가 날아가 2021년에 15.9조 달러가 불어난 것과 극심한 대조를 이뤘다. 유로화의 가치가 달러화보다 더 떨어진 유럽에서도 자산 감소 현상이 적지 않았다. 일본, 중국, 캐나다와 호주 등 글로벌 경제의 상위권을 차지하는 나라들에서도 비슷했다. 일본은 다른 나라들과 달리 2년 연속 자산이 감소한 점이 색달랐다.

반면 지난해 통화 가치가 상대적으로 양호했던 남미와 러시아의 부유층은 달러 기준으로 자산이 증가하는 효과를 봤다.

세계 백만장자 숫자는 지난해 350만명이 줄어 5940만명이었다. 백만장자 대열에서 낙오한 사람 가운데 미국인이 51%가량을 차지했다. 그래도 미국 백만장자는 2270만명으로 세계 전체의 38.2%나 됐다.

북미는 세계 억만장자 가운데 42%를, 유럽은 27%를 차지했다. 두 지역의 인구는 세계 인구의 10%에 해당한다.
이미지 확대
한국의 백만장자는 성인 기준 125만 4000명으로 전 세계의 약 2%를 차지하며 상위 10위를 차지했다. 이탈리아(133만 5000명), 네덜란드(117만 5000명), 스페인(113만 5000명) 등이 한국과 엇비슷했다.

미국 170만명에 이어 일본(46만 6000명), 영국(43만 9000명), 호주(36만 3000명), 캐나다(29만 9000명), 독일(25만 3000명) 등 순으로 백만장자 수가 줄었다. 반면 브라질(12만명), 이란(10만 4000명), 노르웨이(10만 4000명) 등은 늘었다.

보유자산 기준으로 ‘글로벌 톱 1%’에 들어가는 한국 성인은 110만 6000명, ‘글로벌 톱 10%’에 속하는 성인은 1855만 9000명이었다.

지난해 말 기준 전 세계 성인 일인당 평균 자산 규모는 8만 4718 달러(1억 1000만원)로 일년 전보다 3.6% 감소했다. 총 자산 규모도 454조 4000억 달러(67경 9872조원)로 11조 3000억 달러(1경 5117조원, 2.4%) 감소했다. 인플레이션(물가상승)과 금리상승, 달러화 강세에 따른 통화 가치 하락 등의 이유로 역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감소한 것이다.

국가별 일인당 평균 자산규모 순위에서 한국은 23만 760달러(3억 1000만원)로 20위를 기록했으며, 중간값으로는 9만 2720달러(1억 2000만원)로 18위에 올랐다.

일인당 평균 자산규모로는 스위스(68만 5230달러)가, 중간값으로는 벨기에(24만 9940달러)가 각각 1위였다.

크레디트 스위스는 매년 각국 정부의 가계 자산 조사 등을 기초로 해 부동산과 금융자산을 위주로 성인의 달러화 환산 순자산 규모를 추정,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임병선 선임기자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