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스크바 공항들 일시 폐쇄, 우크라 드론 공격에…“TU22 전폭기 파괴 맞다”

모스크바 공항들 일시 폐쇄, 우크라 드론 공격에…“TU22 전폭기 파괴 맞다”

임병선 기자
입력 2023-08-22 09:58
업데이트 2023-08-22 11: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남쪽 솔츠기2 공군기지에 있던 투폴레프 TU22 전폭기가 우크라이나의 드론 공격을 받고 불타는 모습이라고 소셜미디어에 올라온 사진. 영국 BBC의 팩트 추적 BBC 베리파이가 진위를 확인한 결과 지난 19일 오전 10시(현지시간)쯤  일어난 공격이 맞다고 전했다. BBC 홈페이지 캡처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남쪽 솔츠기2 공군기지에 있던 투폴레프 TU22 전폭기가 우크라이나의 드론 공격을 받고 불타는 모습이라고 소셜미디어에 올라온 사진. 영국 BBC의 팩트 추적 BBC 베리파이가 진위를 확인한 결과 지난 19일 오전 10시(현지시간)쯤 일어난 공격이 맞다고 전했다.
BBC 홈페이지 캡처
러시아 수도 모스크바 일대가 22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의 드론 공격을 받아 주요 공항들이 일시 폐쇄됐다고 타스와 로이터 통신이 전했다.

타스 통신은 항공관제당국 관계자를 인용해 브누코보, 셰레메티예보, 도모데도보 등 모스크바의 공항 세 곳을 오가는 항공편이 모두 한시적으로 중단됐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세 공항의 상공이 폐쇄됐다며 도착 항공편은 받지 않고 있으며, 출발이 지연되고 있다고 말했다.

타스 통신은 셰레메티예보와 도모데도보 공항은 다시 항공편을 받고 있으나 브누코보 공항은 여전히 폐쇄돼 있다고 전했다.

모스크바주 당국은 전날 방공망에 의해 파괴된 우크라이나 드론 파편이 지역 내 주택에 떨어지면서 2명이 다쳤다고 발표했다. 러시아 국방부도 모스크바 서쪽 루즈스키 지역에서 우크라이나 드론 하나를 전파 방해로 교란한 데 이어 모스크바 서북쪽 이스트린스키 지역에서 드론 하나를 파괴했다고 밝혔다. 모스크바에서는 지난 17일과 18일에도 드론 공격이 벌어져 도심 건물이 파손되고 일대 공항이 한때 통제됐다. 20일에도 비슷한 일이 재연됐다.

한편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남쪽 솔치2 공군기지에 있던 투폴레프 TU22 전폭기가 우크라이나의 드론 공격을 받고 불탄 것이 확인됐다고 영국 BBC의 팩트 추적 BBC 베리파이가 이날 전했다. 처음 사진이 올라온 것은 소셜미디어(SNS) 텔레그램이었다. 음속의 두 배로 이동할 수 있으며 시리아, 예멘 등 내전 국가에서 동원한 데 이어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도시들을 공격하는 작전에 널리 활용했던 Tu22는 독특한 외관 때문에라도 쉽게 분간할 수 있다.

러시아 국방부는 성명을 통해 지난 19일 오전 10시쯤 노브고로드 지역의 군 비행장에 ‘콥터형 무인기(UAV)’에 의한 공격이 있었다며 소형 무기의 공격을 받았고 물적 피해는 있었지만 인명 피해는 없었다고 전했다. 이 군 비행장은 우크라이나 국경으로부터 640㎞남짓 떨어진 솔치2 공군기지를 가리킨다. 국방부는 기지의 관측소에서 UAV를 탐지했으며 비행장 주차장에서 발생한 화재도 재빠르게 진화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텔레그램 사진은 TU22가 완벽하게 파괴됐음을 드러낸다. 러시아 영토 깊숙이 있는 목표물을 정확히 타격할 수 있을 정도로 우크라이나의 드론 활용 능력이 성장했음을 의미한다고 방송은 지적했다.

Tu22는 냉전 시대의 스윙 날개 초음속 폭격기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암호로는 ‘백파이어’로 통한다. Tu22M3 같은 개량형은 최고 속도가 마하 2(시속 2300㎞)로 최대 2만 4000㎏의 무기를 적재할 수 있다.
임병선 선임기자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