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스니아 내전 때 폭파된 알라드자 모스크 30년 만에 재개관

보스니아 내전 때 폭파된 알라드자 모스크 30년 만에 재개관

임병선 기자
입력 2019-05-05 07:21
업데이트 2019-05-05 07: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포카 EPA
포카 EPA
재개관을 하루 앞둔 지난 3일(현지시간) 알라드자 모스크 외관 장식이 한창이다. 포카 EPA 연합뉴스
재개관을 하루 앞둔 지난 3일(현지시간) 알라드자 모스크 외관 장식이 한창이다.
포카 EPA 연합뉴스
4일 재개관 행사를 앞두고 많은 신도들이 알라드자 모스크를 찾았다. 포카 로이터 연합뉴스
4일 재개관 행사를 앞두고 많은 신도들이 알라드자 모스크를 찾았다.
포카 로이터 연합뉴스
포카 로이터 연합뉴스
포카 로이터 연합뉴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가장 아름다운 것으로 유명했으나 1992년 내전 발발 때 폭탄으로 완전히 무너져내렸던 알라드자 모스크가 다시 건립돼 4일(현지시간) 재개관 기념식이 진행됐다.

1549년 아니면 1550년에 동부 포카에 세워진 이 모스크는 오스만 건축의 백미로 여겨겨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이름을 올렸다. 인종적으로 순수한 국가를 만들겠다는 보스니아 세르비아계가 1992년 내전을 시작하면서 가장 먼저 공격 목표로 삼았던 것이 이 모스크였으며 내전은 1995년까지 이어졌다. 당시 이 모스크는 다이너마이트 폭탄을 매설해 폭발시켜 파괴됐다. 지난해 폭탄을 매설한 보스니아 세르비아계 병사 한 명이 기소됐다.

재건립에 5년이 걸렸는데 터키의 재정적 도움이 큰 힘이 됐다. 원래 건물에 쓰였다가 파괴 때 묻혔던 석재 일부가 발굴돼 전시됐다.

내전 기간 포카의 모스크 12곳이 파괴됐다고 영국 BBC는 4일(현지시간) 전했다. 내전 발발 전에는 포카 주민 4만 1000명 가운데 절반 이상이 무슬림이었으나 지금은 1000여명만 살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세르비아인이 아니라는 이유로 집단 처형과 살해가 무참하게 자행된 곳으로 악명 높다.

내전 기간 세르비아계에 의해 스르빈제란 이름으로 도시 이름을 바꿨으나 2004년 보스니아 최고법원은 원래 이름을 다시 쓰도록 명령했다.

재개관식에는 수천명이 운집해 역사적인 재개관을 지켜봤는데 후세인 카바조비치 보스니아 이슬람위원회 위원장은 “오늘 우리는 사람들이 이곳에서 평화를 찾을 수 있다는 희망을 목격하고 있다”고 말했다. 메흐멧 누리 에르소브 터키문화부 장관은 “인종주의와 증오는 물질적 파괴를 할 수 있지만 수세기를 누려온 공존의 문화를 파괴할 수는 없다는 점을 보여준다”며 축하했다. 미국의 보스니아 특별대사는 이 모스크 건물이 이제는 “미래 세대를 위한 화해의 아이콘”으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