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년 만에 돌아오는 러브레터, 67년 해로한 남편 먼저 떠나보내고

70년 만에 돌아오는 러브레터, 67년 해로한 남편 먼저 떠나보내고

임병선 기자
입력 2019-09-06 05:14
업데이트 2019-09-06 05: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48년과 이듬해 러브레터를 주고받다 1951년 하워드 로버트 비슬리와 결혼한 노르마 비슬리.  노르마 비슬리 제공
1948년과 이듬해 러브레터를 주고받다 1951년 하워드 로버트 비슬리와 결혼한 노르마 비슬리.
노르마 비슬리 제공
열여덟아홉 청춘 때 남자친구와 주고받은 러브레터 뭉치가 70년 만에 내 손에 돌아온다면 어떤 기분이 될까? 더욱이 남자친구와 결혼해 67년을 해로하다 몇 개월 전 세상을 떠난 뒤라 더욱 애틋할 것 같다.

5일(현지시간) 영국 BBC에 따르면 킴 로는 최근 다락방을 정리하다 구두상자에 든 편지 뭉치를 다시 봤다. 1948년과 이듬해에 노르마 홀이란 켄트주 소녀가 해외에 파견된 영국군 병사 봅 비슬리와 주고받은 편지들이었다. 로의 어머니 체리 발랜스가 20년 전 앨더샷에 살 때 다락방에서 발견한 남의 편지들을 계속 보관하고 있었던 것이다.

어머니 발랜스 역시 다른 이의 러브레터란 사실 때문에 함부로 버릴 수 없다고 생각해 간직하고 있었다. 하지만 세월이 너무 많이 흘렀으며 이제 두 사람이 생존하는지도 알 수 없으니 불쏘시개로 던져버리자고 했지만 정작 실행에 옮기지는 않았다..

어머니는 2016년 세상을 떠났다. 그리고 이번에 다시 러브레터들이 담긴 구두상자를 다시 보게 된 로는 두 사람을 너무 늦기 전에 찾아 돌려줘야겠다고 마음먹었다.

그녀는 “정보를 알아내려고 딱 두 통만 읽어봤다. 나머지는 두 사람의 프라이버시도 있고 하니 열어볼 수 없었다. 봅이 노르마를 무척 사랑했으며 노르마가 편지들을 간직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고 말했다.
영국 켄트주에서 따분한 일상을 보내던 노르마 비슬리에게 이집트 근무 중이던 남자친구 하워드 로버트 비슬리와 주고받은 러브레터는 삶의 활력소였다. 노르마 비슬리 제공
영국 켄트주에서 따분한 일상을 보내던 노르마 비슬리에게 이집트 근무 중이던 남자친구 하워드 로버트 비슬리와 주고받은 러브레터는 삶의 활력소였다.
노르마 비슬리 제공
로는 편지 한 통의 겉봉을 사진 찍어 페이스북에 올리고 친구들에게 두 애틋한 주인공의 소재를 추적해달라고 부탁했다. 그 글이 1만 1000회 공유되고 1500개의 댓글이 달릴줄 미처 생각하지 못했다고 했다. 로의 페이스북친구 한 명이 웹 서핑을 열심 히 해 두 사람이 1951년 억스브리지에서 결혼했으며 남자 이름은 하워드 로버트 비슬리라며 주소 하나를 알려줬다.

로는 설레는 마음으로 편지를 보냈는데 노르마 비슬리가 봅과 1940년대 울위치 페리에서 처음 만나 친구가 된 뒤 나중에 연인으로 발전하고 결혼해 67년을 해로한 것이 맞다고 답장을 보내왔다. 이제 여든여덟 살이 된 노르마는 로의 편지를 받고 충격을 받았다며 “특히 내가 넣어뒀던 구두상자 안에 여전히 편지들이 간직돼 있다는 데 놀랐다”고 털어놓았다. 그리고 남편 봅이 지난해 12월에 세상을 먼저 떠나 안타깝다고도 했다.

두 사람은 봅이 중동과 이집트 근무를 마치고 돌아오자 얼마 안돼 결혼식을 올려 버킹엄셔주 이베르 마을에서 신접 살림을 차렸다. 남편은 항공기 제작 공정에 목수로 일했고, 노르마는 사무직으로 일했다. 다섯 자녀에 여섯 증손주를 뒀다.

“처음에는 친구로 편지를 썼다. 그러나 곧 더한 관계로 발전했다. 그는 자신의 인생 얘기를 많이 했고 난 집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적었다. 내 삶은 이집트를 여행하는 그만큼 재미있지 않다고 생각했다. 난 편지쓰는 것을 즐기지는 않는 편이었지만 매주 한 통은 썼던 것 같다. 매주 잡지를 보내곤 했다.”
남편 하워드 로버트 비슬리는 67년을 해로하다 지난해 12월 세상을 떠났다. 이제 아내 노르마는 70년 만에 돌아오는 러브레터를 혼자 뜯어볼 엄두가 나지 않는다고 털어놓았다. 노르마 비슬리 제공
남편 하워드 로버트 비슬리는 67년을 해로하다 지난해 12월 세상을 떠났다. 이제 아내 노르마는 70년 만에 돌아오는 러브레터를 혼자 뜯어볼 엄두가 나지 않는다고 털어놓았다.
노르마 비슬리 제공
노르마는 또 편지가 돌아오는 것은 반갑지만 남편 봅이 떠난 상황이라 혼자 편지를 열어볼 엄두가 나지 않는다고 털어놓았다. 그녀는 부모 집에 편지들을 놔둔 것으로 기억하고 있지만 어떻게 앨더샷을 거쳐 서머싯까지 옮겨졌는지 모르겠다고 했다. 다만 부모들이 켄트에서 도르싯의 크라이스트처치로 이사했을 때 우연히 어딘가에 놔둔 것으로 추정했다. “난 편지들이 영원히 사라졌다고 생각했다.”

로와 노르마는 전화번호를 교환했고 지난달 처음 통화했고, 곧 만날 계획이다. 로는 노르마에 대해 “사랑스러운 웃음 소리를 지닌 놀랍도록 따듯한 숙녀였다”고 말했다.

둘은 서로 편지를 나누기로 했다. “이 사연의 메시지가 있다면 바로 이것이다. 전자 커뮤니케이션 시대에 사랑하는 이에게 편지를 쓴다. 편지지에 적고 스네일 우편(snail mail, 전자 우편에 비해 도착 시간이 늦는 보통 우편)으로 말이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