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닉 마시스 “늦깎이 성공비결? 트라바유와 파시옹”

아닉 마시스 “늦깎이 성공비결? 트라바유와 파시옹”

입력 2011-05-02 00:00
업데이트 2011-05-0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 초연 ‘카르멜회 수녀들의 대화’ 여주인공 아닉 마시스 단독 인터뷰

프랑스 작곡가 프란시스 풀랑(1899~1963)의 ‘카르멜회 수녀들의 대화’는 1957년 이탈리아 밀라노의 라 스칼라 극장에서 초연된 이후 오페라계에 충격을 던졌다. 지금껏 오페라가 사랑에 관한 아리아를 내세웠던 것과 달리 ‘카르멜회’는 자아 성찰적인 대화를 담은 노래로 종교적인 분위기를 자아냈기 때문이다. 프랑스 대혁명 이후 공포정치의 공기가 무겁게 드리운 1794년 7월 카르멜회 수녀들의 처형을 소재로 했다. 둔탁한 단두대의 칼날이 날카로운 금속성과 함께 떨어지면 수녀들도 한 명씩 쓰러지는 기괴하고 인상적인 피날레가 백미다.

이미지 확대
춘희와 루치아로 세계적 소프라노 반열에 오른 프랑스 프리마돈나 아닉 마시스.
춘희와 루치아로 세계적 소프라노 반열에 오른 프랑스 프리마돈나 아닉 마시스.
‘카르멜회’가 5~8일 서울 서초동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 무대에 오른다. 프랑스 국보급 오페라이지만 한국 공연은 처음이다. 국립오페라단이 나섰다.

관전 포인트는 두 가지. 2008년 로렌스 올리비에 상(영국극장협회가 주최하는 최고 권위의 공연예술상) 수상자인 프랑스 연출가 스타니슬라스 노르디의 솜씨를 우선 눈여겨봐야 한다. 또 다른 포인트는 종교적 신념에 따른 순교와 살고 싶은 욕망 사이에서 번민하는 여주인공 블랑슈 역의 프랑스 소프라노 아닉 마시스(51)다. 지난달 18일 입국해 연습에 한창인 그녀를 서초동의 한 호텔에서 만났다.

초반 분위기는 어색했다. 그녀가 약속한 사진 촬영을 거부했기 때문이다. 오전 11시는 편하게 얼굴을 내놓기에 부담스러운 시간이기는 하다. 하지만 문답이 서너 차례 오가자 그녀는 속사포처럼 쏟아내기 시작했다. 빠르지만 논리적이고 정돈된 답이 돌아왔다.

마시스는 “언제나 새로운 문화와 도시를 체험하는 건 기분 좋은 일”이라면서 “입국 이후 하루 9시간씩 일(연습)만 해서 서울을 느껴 보지는 못했지만 한국에서 공연하게 된 것을 진심으로 감사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녀는 독특한 이력의 소유자다. 초등학교 교사를 하다가 28살 때 파리의 프란시스 플랑 음악원에 들어가 본격적인 성악 수업을 받았다. 그녀는 “초등학생을 가르치는 일은 흥미로웠지만 음악에 대한 열정을 꺾을 수는 없었다.”면서 “스물여덟이라는 나이도 마찬가지였다.”고 말했다. 부모님이 성악을 반대한 탓에 진로를 교사로 수정했지만 결국에는 원래의 물줄기로 돌아왔다는 고백이다.

이미지 확대
춘희(왼쪽)와 루치아
춘희(왼쪽)와 루치아
1990년인가 1991년(그녀의 기억이 확실치 않았다), 모차르트 ‘후궁으로부터의 도주’ 가운데 여주인공 시녀인 블론트켄 역으로 데뷔했다. 국제적인 주목을 받은 것은 1997년 도니제티의 ‘람메르무어의 루치아’에 출연하면서였다. 정략결혼을 한 루치아가 신랑을 칼로 찌르고서 피묻은 잠옷 차림으로 부르는 ‘광란의 아리아’는 이후 마시스의 상징이 됐다.

늦깎이의 성공 비결이 궁금했다. 통역을 통해 질문을 듣더니 그녀는 “트라바유(travail·일), 트라바유, 트라바유… 파시옹(passion·열정), 파시옹, 파시옹…”이라며 같은 단어를 반복했다. 우문현답이다.

마시스는 “남들보다 늦어 처음에는 이해도 못 하고 당황했지만, 열정이 있었기에 닥치는 대로 해치워 따라잡았다.”면서 “호기심과 음악에 대한 사랑, 사람들과의 만남이 오늘의 나를 만든 원동력이다. 시간이나 나이는 중요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마시스는 2005년 이탈리아 최고 권위의 황금기러기상(La Siola d‘Oro)을 받았다. 1983년 세기의 소프라노 리나 팔리우기(1907~1980)를 기념하려고 만든 상이다. 2년마다 최고의 여성 성악가가 상을 받는다. 조수미(1993년), 엘리자베스 비달(프랑스·2000년), 조안 서덜랜드(호주·2007년)도 이 상을 받았다.

산전수전 다 겪은 그녀에게도 ‘카르멜회’의 블랑슈는 첫 경험이다. 그녀는 “귀족 출신으로 수도원에 들어간 블랑슈는 끊임없이 삶의 의미에 대해 자문한다.”면서 “살아가면서 마주치는 진실들을 직시하느냐 피하느냐는 누구나 겪게 되는 일이라 더 공감이 간다.”고 말했다.

이어 “이전과는 다른 음색과 스타일로 블랑슈를 연기할 것”이라면서 “제대로 해낸다면 (수없이 해냈던) ‘라 트라비아타’까지도 완전히 다르게 소화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자신의 무대경력에 커다란 전환점이 될 것이라는 얘기다.

그녀는 5·7일 무대에 선다. 6·8일은 독일 슈베린극장의 주역으로 활동 중인 소프라노 박현주가 맡는다. 평일 오후 7시 30분, 일요일 5시. 1만~15만원. (02)586-5282.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2011-05-02 20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