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아트 총정리 ‘육감’ 기획전

미디어아트 총정리 ‘육감’ 기획전

입력 2011-11-12 00:00
업데이트 2011-11-1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연말까지 19인 작품 120점 전시

“이제 욕먹을 일만 남았죠. 왜 나는 빠졌냐, 선정 기준이 뭐냐 하는 소리가 벌써 들려요. 하하하.” 미디어아트 분야를 한번쯤 총정리해 보자는 취지로 서울 종로구 서린동 아트센터나비에서 열리는 기획전 ‘육감 마사지’를 준비한 류병학(51) 큐레이터가 씽긋 웃었다.

이미지 확대
이이남의 ‘신 진주 귀걸이를 한 소녀’
이이남의 ‘신 진주 귀걸이를 한 소녀’
전시 제목은 오감을 만족시킨다는 미디어에다 예술성까지 부여해 육감을 만족시켜 주겠다는 의미에서 정했다. 마사지는 매체 자체의 메시지성을 중요하게 여긴 마셜 매클루언의 논의에서 빌려 왔다.

1970년대 이후 한국의 미디어아트를 정리한다면서 딱 19명의 작가만 선정했다. “백남준 선생이 1960년대부터 국제무대에서 비디오 아트를 선보였는데 정작 국내에서 처음 작품을 선보인 사람은 박현기(1942~2000)예요. 이 분을 시작으로 꼽고 그 이후, 한두번 하다 만 분들이 아닌 꾸준히 작업해 온 분들을 골랐습니다.”

대신 2000년까지로 끊었다. 그 이후로는 미디어아트 작가가 너무 많아진 데다 이때부터는 동시대 예술이라는 판단에 따라서다. “마침 2000년대 들어서 미디어아트를 전문으로 하는 아트센터나비가 만들어지고, 미디어시티서울 같은 행사가 개최됐습니다. 그 활성화 이전의 시대를 되돌아보자는 것이지요.”

해서 박현기 이후 이이남, 김해민, 이용백, 박화영, 김세진, 김창겸, 전준호, 장지아, 양아치 등 최근에 주목받고 있는 작가들까지 모아 120여점의 작품을 선보인다. “굳이 분류해서 붙이자면 이들을 1세대라고 말할 수도 있겠지요. 초기에는 대구, 대전 같은 지방 작가들이 주도했다는 점을 특징으로 꼽을 수 있겠고, 1990년대 말 이후에는 해외에서 공부한 유학파들이 중심이 됐습니다. 이 둘 사이에 간극이 있겠지만 그렇게 따지면 중간에 공백이 너무 커서 한데 묶는 것이 좋다고 봤습니다.”

이런 전시 기획은 미디어아트의 미래와도 연결된다. “사실 미디어아트가 넘쳐난다지만 판매로는 잘 이어지지 않고 있어요. 몇몇 스타 작가들을 제외하고는 판로가 마땅치 않은 면이 있고, 뜬다 뜬다 하지만 대개의 작가들은 안정적인 기반을 갖지 못한 채 작업하고 있는 게 현실입니다.” 그래서 스스로 ‘들개’가 됐다고 했다. “홍대 인디밴드나 대학로 연극팀들과 꾸준히 접촉하고 있습니다. 영상과 연극, 음악이 한데 어우러지는, 일종의 총체극을 한번 시도해보고 싶어요. 내년에 두 작품 정도 한번 무대에 올려볼 생각입니다.” 전시는 12월 30일까지. (02)2121-1031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1-11-12 17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