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피는 4월… 다채로운 국악 공연무대

꽃피는 4월… 다채로운 국악 공연무대

입력 2012-03-27 00:00
업데이트 2012-03-2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통 우리춤 즐길까 국악 명인들 만날까 코믹 판소리 들을까

나들이하기 좋은 봄날에, 다양한 국악 공연이 꽃망울을 터뜨리듯 피었다. 송글송글 맺힌 열매들은 뿌리는 같아도 모양은 제각각이다. 어떤 것은 정통 그대로이고, 또 어떤 것은 재미있는 색깔을 입었다. 어떤 열매를 따서 즐길지는 관객의 선택이다.

이미지 확대
‘선비 무용가’로 불린 고 최현 선생이 안무한 ‘군자무’. 사군자(四君子)의 아름다움을 형상화했다. 한국전통문화연구원 제공
‘선비 무용가’로 불린 고 최현 선생이 안무한 ‘군자무’. 사군자(四君子)의 아름다움을 형상화했다.
한국전통문화연구원 제공
●무용대가 한자리 ‘한국 명작무 대제전’

전통 무용계에서 인정하는 거장과 명무(名舞)들을 만나는 ‘한국 명작무 대제전’이 다음 달 7일과 8일, 서울 서초동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열린다. 한국전통문화연구원이 지난해 처음 선보인 이 제전에서는 오랜 역사를 이어온 우리춤을 재조명한다. 안무자가 작고하면서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작품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7일에는 김중석 처용무(중요무형문화재 39호) 보유자, 이현자 태평무(중요무형문화재 92호) 준보유자가 춤사위를 펼친다. 이애주(중요무형문화재 27호 승무) 보유자와 채상묵 한국무용협회 부이사장이 각각 한영숙·이매방류 승무를 보여준다. 8일 낮 공연에는 살풀이·교방굿거리춤·남무·사풍정감·군자무·벽파입춤·화초별감 등을, 저녁 공연에는 무산향·허튼법고춤·즉흥무·한량무·경기검무 등을 준비했다. 1만~5만원. (02)589-1066.

●판소리·가야금 함께하는 ‘명인무대’

세종문화회관이 2009년부터 시작한 ‘명인무대’는 올해 덩치를 키웠다. 지난해 M씨어터(609석)에서 한 공연이 유료객석 점유율 79%를 보이면서 올해는 대극장(3022석)으로 옮겼다.

4월 19일 열리는 공연은 이재숙(가야금), 정재만(무용), 정재국(피리), 안숙선(판소리) 명인을 모두 만날 수 있다. 이강덕 작곡가의 ‘염불주제에 의한 환상곡’으로 문을 여는 공연은 가야금 협주곡 ‘춘설’(황병기 작곡·김희조 편곡)로 이어진다. 한영숙류 승무 보유자인 정재만 명인은 ‘허튼 살풀이’를 선사하고, 피리 협주곡 ‘자진한잎’(이상규 작곡)에 이어 안숙선 명창이 판소리 ‘심청가’ 중 심봉사 황성가는 대목을 들려준다. 1만~5만원. (02)399-1114.

●기발하고 유쾌한 판소리 ‘바투’

4월 6~8일 서울 남산국악당에서 열리는 ‘바투’는 ‘코믹 버라이어티 판소리’를 표방한다. 남성 소리꾼 2인방 김봉영과 이상화가 도둑과 형사의 좌충우돌이란 이야기 속에 해학적 요소와 장르를 넘나드는 결합을 시도한다.

현장 경험 없이 황금비율의 커피를 타는 정도가 능력의 전부인 형사가 신출귀몰한 도둑을 쫓으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판소리로 풀었다. 태평소, 피리, 거문고 같은 전통악기에 색소폰, 키보드, 퍼커션을 추가하면서 음악을 빠르고 박진감 있게 풀어냈다. 판소리를 다소 지루하다고 느꼈다면 시도해볼 만한 공연이다. 뮤지컬 ‘부석사’의 신재훈 감독이 연출을 맡았고 뮤지컬 ‘현정아 사랑해’와 연극 ‘십이야’의 음악감독 김승진이 작곡과 음악을 담당했다. 2만 5000원. (02)755-9478~9.

최여경기자 kid@seoul.co.kr

2012-03-27 2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