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가모니 출산 마야부인 추정 백제 청동인물상 국내 첫 발굴

석가모니 출산 마야부인 추정 백제 청동인물상 국내 첫 발굴

입력 2014-02-21 00:00
업데이트 2014-02-21 02: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6세기 작품 확실”… 왕흥사지서 출토

석가모니를 출산하는 마야부인을 연상시키는 백제 시대 청동인물상이 발굴됐다. 국내에는 유사한 발굴 사례가 없어 학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문화재청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는 20일 서울 광화문 국립고궁박물관에서 부여 왕흥사지 강당지(충청남도 부여군)에서 출토된 검지 크기의 청동인물상을 처음 공개했다.

이미지 확대
청동인물상은 높이 6㎝, 최대 폭 2.5㎝, 무게 30.88g으로 강당지 동측기단에서 11m 서쪽으로 떨어진 지점에서 출토됐다. 오른손을 올리고 발밑까지 내려오는 얇은 주름치마를 입고 있으며, 마치 석가모니를 출산한 직후의 마야부인을 떠올리게 한다. 강순형 국립문화재연구소장은 “독특한 자세와 주름치마, 미묘한 얼굴 표정 등으로 봐서 마야부인상으로 추정된다”면서 “국보·보물 못지않게 중요한 의의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비슷한 형태의 마야부인 형상은 2~3세기 간다라 라호르박물관, 5세기 중국 윈강 석굴, 7세기 일본 호류지 등에서 발견된 바 있다. 연구소 측은 “비파괴 분석 결과 인물상이 구리와 주석의 합금으로 판명됐고 양식과 복식 등으로 보아 6세기 백제시대의 것이 확실하다”고 밝혔다.

연구소는 앞으로 인물상의 제작연대 등을 밝히는 연구를 지속할 계획이다. 유물이 출토된 왕흥사지는 서기 577년 백제 위덕왕이 봉안한 사찰로 강당지와 동·서 건물지, 사역 서편 건물지 등이 최근 확인됐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4-02-21 12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