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귀식물 보고 산림습원 DMZ에서 9곳 발견

희귀식물 보고 산림습원 DMZ에서 9곳 발견

한상봉 기자
한상봉 기자
입력 2023-08-22 10:07
업데이트 2023-08-22 12: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54종, 국내 특산식물 14종

이미지 확대
철원읍 외촌리에서 발견된 산림습원 전경. 국립수목원 제공.
철원읍 외촌리에서 발견된 산림습원 전경. 국립수목원 제공.
산림청 국립수목원이 DMZ 일대 중부지역에서 53ha에 이르는 새로운 산림습원 9개소와 희귀식물 자생지를 대거 확인했다. 이 중 선제비꽃의 자생지는 국내에서 최대 군락지로 알려졌다.

22일 국립수목원에 따르면 산림습원은 산림의 습지뿐만 아니라, 과거 화전 경작 등의 활동으로 형성된 수분을 다량 함유한 지형 또는 수분이 공급되는 지점을 말한다. 산림생태계에서 수생태계와 산지 환경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생물다양성의 보고로 꼽힌다.

접근이 어려운 민통선 내에서의 산림습원 발견은 작년 서부지역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다. 수목원은 이번 9개소의 산림습원에서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54종, 우리나라 특산식물 14종을 포함한 총 97과 310속 596종의 식물 분포를 확인했다.

선제비꽃 자생지는 국내 최대 군락지
이미지 확대
선제비꽃의 청순함
선제비꽃의 청순함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인 선제비꽃의 청순한 자태.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돼 있다. 국립수목원 제공.
특히 이번에 발견된 산림습원에서는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인 선제비꽃(멸종위기종), 눈향나무, 긴잎꿩의다리(위기종), 옹굿나물, 삼지구엽초, 쑥방망이(취약종) 등 다수의 희귀식물 자생지가 발견됐다. 이중 선제비꽃 자생지는 국내 최대 군락지다.

그러나 민통선 안쪽이라는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산림습원을 보전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군사훈련 등의 인위적 훼손이 확인돼 꾸준하고 세심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실정이다.

최영태 국립수목원장은 “국내 분포 산림습원을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지정 등 체계적인 관리와 보전할 계획”이라고 하였다.
한상봉 기자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