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한·일 문화교류로 역사·국제관계 넘어야” 미야타 료헤이 日 문화청 장관

[인터뷰]“한·일 문화교류로 역사·국제관계 넘어야” 미야타 료헤이 日 문화청 장관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9-05-10 03:33
업데이트 2019-05-10 03: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적교류 한·일 새로운 세계관 구축에 중요”

“한류, 저도 좋아합니다. 한류, 다이스키!(사랑합니다!)”

9일 일본 도쿄 신주쿠구 주일한국문화원에서 만난 미야타 료헤이 일본 문화청 장관이 ‘한류’에 관한 의견을 묻자 밝은 미소로 엄지를 치켜들었다. 케이팝(K-POP)을 필두로 한 한류가 일본 젊은이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끄는 현상을 아주 바람직하게 본다는 뜻이다. 료헤이 장관은 그 이유로 한국과 일본의 민감한 문제, 예컨대 역사나 정치, 국제관계 등을 한·일 문화 교류가 봉합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일본 문화청 장관은 우리나라로 치면 문화체육관광부 차관에 해당한다.

“한국에도 일본에도 훌륭한 사람과 좋은 물건들이 있습니다. 훌륭한 사람을 만나고 좋은 물건을 써보면 서로 더 잘 이해할 수 있잖습니까. 이런 식으로 서로 공감을 이어가면 좋은 관계도 성립합니다. 특히 인적교류가 굉장히 중요합니다. 인적 교류를 통해 한국과 일본이 민감한 문제를 넘어 새로운 세계관도 구축할 수 있을 겁니다.”

료헤이 장관은 특히 한국 문화에 관해 “1000년 전부터 한국과 중국의 문화가 일본에 전해왔다. 오늘날 일본 문화의 근저에는 중국과 한국이 있다”면서 “한국이나 중국은 일본 문화에 ‘형’이나 ‘누나’ 같은 존재라고 생각한다”고도 했다.

“저는 오랫동안 금속공예를 했습니다. 예컨대 불교 쪽의 금속공예를 하면서 불교를 비롯해 여러 문화가 한국에서 이어져 온 것을 알게 됐습니다. 주일한국문화원이 올해 40주년을 맞았지만, 저는 사실 훨씬 예전부터 정치적인 문제와 상관없이 한국과 일본이 정말 형제 같은 존재였다고 생각합니다.”

그는 이날 주일한국문화원이 40주년 사전행사로 준비한 전시회에 관해서도 높게 평가했다. ‘한국 공예의 법고창신’이라는 주제로 열린 전시회는 흑과 백으로 갤러리 공간을 나누고 흰색과 검은색만으로 표현한 전통 공예품 75점을 대비해 전시했다.

“공예작품을 이렇게 대비해 표현하고 이를 대비해 배치한 게 정말 감동적이었습니다. 새로운 발상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여러 색을 섞으면 검은색이 되고, 반대로 여러 빛을 모으면 흰색이 됩니다. 마치 한·일 문화 40년 역사를 반영한듯한 느낌이랄가요. 앞으로도 한·일 관계 속에서 더 나은 문화들이 태어나길 바랍니다.”

일본 도쿄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