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한 우연의 순간’ 좇던 휴머니스트

‘완전한 우연의 순간’ 좇던 휴머니스트

입력 2011-11-12 00:00
업데이트 2011-11-1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진작가 로니스의 에세이 ‘그날들’

‘남자는 창가에 서서 밖을 바라보고 있었다. 그는 거의 먹지 않았고 담배만 피워댔다. 많이 피웠다. 내내 피웠다.’

이미지 확대
윌리 로니스에게 세계적인 명성을 안겨준 사진. ‘규소폐증에 걸린 광부’는 있는 그대로를 포착한다는 로니스의 사진철학이 가장 잘 드러난 작품.
윌리 로니스에게 세계적인 명성을 안겨준 사진. ‘규소폐증에 걸린 광부’는 있는 그대로를 포착한다는 로니스의 사진철학이 가장 잘 드러난 작품.


이미지 확대
윌리 로니스에게 세계적인 명성을 안겨준 사진. ‘어린 파리지앵’은 그 철학이 약간 흔들렸던 작품이다.
윌리 로니스에게 세계적인 명성을 안겨준 사진. ‘어린 파리지앵’은 그 철학이 약간 흔들렸던 작품이다.


프랑스 사진작가 윌리 로니스(1910~2009)에게 세계적인 명성을 안겨준 ‘규소폐증에 걸린 광부’(1951)가 탄생하는 순간이다.

로니스는 유작이 된 사진에세이 ‘그날들’(이봄 펴냄)에서 산업화 물결이 들이닥쳤던 1950년대 초입의 시대상 포착 순간을 이렇게 회고했다. 규소폐증에 걸려 은퇴한 이 광부는 사진에 찍힌 모습과 달리 겨우 마흔일곱 살이었다. 그리고 몇 달 뒤 세상을 떠났다.

훗날 한 외국 출판사가 사진 밑에 ‘노동자 세계의 교화는 가능한가?’라는 문구를 붙였다. 있는 ‘그대로의 광산촌 현장을 전달하고자 했던’ 로니스는 자신의 사진이 자신의 의도와 무관하게 ‘어떤 대의에 활용’되는 것을 보고 프리랜서로 전환한다. 그리고 거리를, 사회를, 현장을 누빈다. 이름 앞에 ‘휴머니스트’라는 수식어가 붙는 이유다. 그가 “내 인생의 조각천”이라고 불렀던 사진들과 그 사진에 얽힌 기억을 담은 ‘그날들’은 2006년 프랑스에서 먼저 출간됐다. 로니스가 99세의 나이로 세상을 뜨기 3년 전이다.

피아노 교사였던 어머니의 영향을 받아 작곡가를 꿈꾸었던 그는 군 제대 뒤 병든 아버지의 사진관 일을 돕다가 본격적으로 카메라를 걸쳐 멨다. 1934년 노동자 시위를 시작으로 사회 현실에 눈을 떠 제2차 세계대전 전쟁포로 귀환 장면 등을 포착해냈다. 프랑스 사진작가로는 처음으로 미국 ‘라이프’지 사진기자를 지내기도 했다.

영화 ‘쥘과 짐’의 영감이 된 듯한 작은 나무다리 위의 두 소년과 한 소녀의 오후 한때(‘쥘과 짐’, 1947), 너무 갖고 싶지만 절대 가질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지레 포기하는 표정의 딸과 남루한 차림의 아빠 표정이 묘하게 대비되는 어느 성탄절(‘자전거’, 1954), 웃음이 절로 나오는 소년과 할머니의 어떤 박물관 나들이(‘푸시킨 궁’, 1986) 등 책에는 우리 인생의 ‘그날들’이 펼쳐진다.

로니스는 “내 사진인생을 통틀어 가장 붙잡고 싶었던 것은 완전히 우연한 순간들”이라고 말한다. “나는 무엇도 지어낼 수 없다. 그냥 존재하는 것, 내 눈에 보이는 것, 내 관심을 끄는 것과 함께 있을 뿐이다. 가장 어려운 것은 그것을 포착하는 것이다.”

그렇다고 그가 ‘연출’을 전혀 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저 유명한, 바게트 빵을 들고 뛰어가는 소년(‘어린 파리지앵’, 1952)에 대한 그의 고백이다.

“빵을 사서 나온 아이는 이토록 귀엽게, 이토록 신나게 달렸다. 난 최상의 사진을 얻기 위해 아이를 세 번 뛰게 했다.” 2만 2000원.

이은주기자 erin@seoul.co.kr
2011-11-12 19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