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초엽 작가의 과악을 펼치다] ‘추’ 하나 덕에… 태풍·지진도 견딘 타이베이 101

[김초엽 작가의 과악을 펼치다] ‘추’ 하나 덕에… 태풍·지진도 견딘 타이베이 101

입력 2019-09-19 17:16
업데이트 2019-09-20 00: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빌트, 우리가 지어올린 모든 것들의 과학/로마 아그라왈 지음/윤신영·우아영 옮김/어크로스/328쪽/1만 6000원

대만 타이베이에는 한때 세계 최고층 건물이었던 마천루가 있다. ‘타이베이 101’이라는 이름이 붙은 이 건물에는 수많은 관광객들이 전망대 야경을 보러 찾아온다. 그런데 전망대에서 내려가는 사람들의 발길을 붙드는 것이 하나 더 있다. 빌딩 꼭대기에서부터 두꺼운 와이어 로프로 매달려 있는, 92층에서 87층까지 걸친 거대한 추다. 이는 건물의 흔들림을 상쇄하기 위해 초고층 건물에 설치하는 댐퍼인데 타이베이 101의 ‘윈드 댐퍼’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관광객들에게 공개된 댐퍼라고 한다. 타이베이 101은 이 거대한 추 덕분에 여러 차례의 지진과 태풍에도 건재할 수 있었다.
이미지 확대
우리는 수많은 건축물 사이에서 살아간다. 실내에 있을 때는 물론이고, 건물 밖에서도 다리를 건너고 도로를 지나며 지하터널 위를 걷는다. 이 모든 건축물들은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내부 구조물에 의해 단단히 지탱된다. 타이베이 101의 윈드 댐퍼처럼 중력과 바람과 지진으로부터 건물을 지키는 기술이 곳곳에 적용돼 있다. ‘빌트, 우리가 지어 올린 모든 것들의 과학’은 구조공학자 로마 아그라왈의 저서로, 사람들이 자세히 들여다보지 않는 건물의 벽면 내부에 주목해 건축물의 구성 요소들을 조목조목 살펴보는 책이다.

우리는 아름다운 건물의 외관에 감탄하지만, 그 내부에는 구조의 과학이 녹아 있다. 하늘을 향해 곧게 선 기둥, 물위를 가로지르는 다리는 압력, 마찰력, 장력 등 다양한 힘의 흐름을 고려해 설계된다. 건축가들이 심미성을 고려한 드로잉을 가져오면 구조공학자들은 이를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한 형태로 만든다. 건축물의 프레임, 재료, 결합에 이르기까지 신중한 검토 과정이 약간이라도 틀어지면 사람을 지탱해야 할 건축물이 무너지는 참사가 일어날 수 있다. 저자는 1907년 캐나다 퀘벡 다리 붕괴 참사를 예로 든다. 아무리 대비해도 인간의 건설 작업은 불완전하지만, 엔지니어들은 사고로부터 배우고 다음 건축물을 더욱 안전하게 만들 방법을 찾는다.

앞으로 구조공학은 삶의 단단한 기반을 위해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계속해서 등장하는 새로운 기술은 건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금까지는 상상하지 못했던 놀라운 건축물들이 등장할지도 모른다. 그 벽 내부의 복잡하고 세심한 공학을 조금이나마 상상할 수 있게 될 때, 우리가 도시를 바라보는 눈도 이전과는 조금 달라지게 될 것이다.



2019-09-20 36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