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검색 시대는 끝, 큐레이터에게 맡겨 봐

정보 검색 시대는 끝, 큐레이터에게 맡겨 봐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19-09-19 17:26
업데이트 2019-09-20 00: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큐레이션/스티븐 로젠바움 지음/이시은 옮김/이코노믹북스/336쪽/1만 9000원

길에 누군가 버린 신문이 한 부 떨어져 있다. 어제 발행된 신문이다. 오늘자 신문 배달을 하던 소년은 잠시 고민에 빠진다. 이 신문을 주워 팔면 죄가 될까. 된다면, 죄명은 뭘까. 저작권 도용? 이런 고민을 하던 소년은 곧바로 ‘중고 신문 사업’에 뛰어든다. 어제 신문들을 모아 이웃들에게 팔았던 것. 새책 ‘큐레이션’을 낸 저자가 아홉살 때 벌인 사업이다.

당시 ‘사업’은 실패했다. 요즘이라면 다를 수 있다. 다양한 출처에서 뉴스를 선별해 자신의 의견을 필터링하고 분류한 뒤 큐레이션해 되팔았다면 이문이 쏠쏠했을 것이다. 실제 그렇게 하는 플랫폼들이 여럿이고, 수입도 뉴스 생산자보다 월등히 많다.

예전엔 많은 정보를 가진 자가 유리한 위치에 설 수 있었다. 하지만 정보와 콘텐츠가 넘쳐나는 요즘은 여러 정보를 잘 선별해 필요한 곳에 쓰는 자가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다. 그것이 바로 큐레이션의 힘이다.

큐레이션은 ‘다른 사람이 만들어 놓은 콘텐츠를 목적에 따라 가치 있게 구성하고 배포하는 일’, 큐레이터는 ‘그런 일을 하는 사람’이다. 미술관 큐레이터가 예술작품을 선정해 최상의 위치에 전시하듯 ‘콘텐츠 큐레이터’는 수많은 콘텐츠를 보기 좋고 유익하게 구성해 주는 ‘인간 필터’ 노릇을 한다. 다양한 재료를 맛깔스럽게 조합해 내는 유튜버나 블로거, 각계 사람들이 집단지성을 형성한 위키피디아 등이 큐레이션의 한 형태다.

스스로 콘텐츠 큐레이터이기도 한 저자는 미디어와 광고, 웹 테크놀로지 등 여러 분야의 인재들을 인터뷰한 뒤 책에 그들의 사례를 모았다. 큐레이션의 흐름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고, 구체적으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큐레이션의 관점으로 세상을 본다는 건 어떤 것인지에 대한 여러 담론들을 책에 담았다.

저자는 검색의 시대는 끝나고 큐레이션의 시대가 도래했다고 단언한다. 검색 시대의 관건은 대용량의 빠른 컴퓨터였지만 큐레이션 시대의 관건은 인간이다. 검색의 시대가 끝났다고 구글이 파산하는 건 아니듯 기존의 검색 행위가 기초 자료를 찾는 것에서 점차 ‘믿을 만한’ 소셜 큐레이션으로 옮겨 간다는 뜻이다. 그 대상이 바로 인간이고 커뮤니티다.

손원천 선임기자 angler@seoul.co.kr
2019-09-20 37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