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흐 합창곡의 정수 당대 음악 그대로

바흐 합창곡의 정수 당대 음악 그대로

입력 2011-05-20 00:00
업데이트 2011-05-20 00: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90년 일본인이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1685~1750)를 당대의 방식으로 연주한다고 했을 때 유럽 음악계의 시선은 싸늘했다. 하지만 1990년 ‘바흐 콜레기움 재팬’을 창단한 그는 1995년부터 바흐의 방대한 칸타타(17~18세기 바로크 시대의 성악곡 형식) 전곡을 녹음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이미지 확대
마사아키 스즈키
마사아키 스즈키
첫 시디(CD)가 나왔을 때 그는 “기모노를 입은 것은 바흐가 아니다.”라는 식의 혹평과 마주쳤다. 하지만 올해 48집을 발표할 때까지 16년을 멈추지 않고 내달렸다. 물론 그의 프로젝트는 진행형이다. 어느새 서구 평단의 시선도 “바흐의 심장박동을 그대로 느끼는 지휘자”(영국 ‘인터내셔널 레코드 리뷰’) “그의 진지함과 강한 영적 신념에 감동받지 않으려면 강압적인 힘이 필요할 것”(영국 ‘더 타임스’)이란 찬사로 바뀌었다.

지휘자 겸 오르가니스트, 하프시코디스트인 마사아키 스즈키(57)의 얘기다. 스즈키는 2005년 서울에서 열린 한 음악 세미나에서 ‘바흐 솔리스텐 서울’(음악감독 박승희)을 처음 만났다. 바흐 솔리스텐 서울은 독일에서 고음악과 오라토리오(17~18세기 성행했던 종교적 극음악)를 공부하고 돌아온 음악도들을 주축으로 만들어진 바로크 전문 앙상블. 스즈키는 자신이 걸어온 길을 향해 막 걸음을 뗀 이들의 멘토를 자처했다. 덕분에 일천한 국내 원전연주(음악이 작곡된 시대의 악기와 방식으로 연주)도 빠른 속도로 발전했다.

멘토와 멘티가 새달 5일 서울 삼성동 LG아트센터에서 바흐 합창음악의 결정체인 ‘b단조 미사 BWV232’ 전곡을 선보인다. 바흐 콜레기움 재팬의 기악 연주자 9명과 바흐 솔리스텐 서울이 함께 무대에 선다. 특히 바흐 당대의 방식으로 성악 솔리스트(콘체르티스트)들이 합창(리피에니스트)을 병행하는 형태로 이뤄진다. 2만~8만원. (02)2005-0114.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2011-05-20 2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