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리뷰] 발리우드 틀 깬 ‘청원’

[영화리뷰] 발리우드 틀 깬 ‘청원’

입력 2011-11-04 00:00
업데이트 2011-11-04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4년 전. 이튼은 당대 최고의 마술사였다. 여인의 입김을 불어 넣어 촛불을 양초에서 분리한 뒤 공중으로 몸을 띄워 촛불과 양초를 다시 결합시키는 마술은 그의 전매특허. 하지만 마술을 선보이다 공중에서 추락하고 만다. 수차례 대수술을 받았지만 끝내 전신마비가 된다.

이미지 확대




삶을 끝내고 싶었던 순간도 많았지만 그의 곁에는 12년간 한결같이 돌봐주는 간호사 소피아가 있다. 코끝에 앉은 파리 한 마리도 떼어내지 못하는 그는 그녀의 도움으로 삶을 이어간다. 사람들에게 희망을 주는 라디오 DJ로 제2의 삶을 살아간다. 불행을 감춘 채 평화로운 일상을 보내던 이튼은 어느 날 오랜 친구인 변호사 데비아니를 불러 한 가지 부탁을 한다. 인도에서는 불법인 안락사를 할 수 있도록 법원에 청원해 달라는 것.

3일 개봉한 ‘청원’(원제: Guzaarish)은 보이지도, 들리지도 않는 소녀와 그를 세상 밖으로 나가도록 돕는 헌신적인 스승의 이야기를 다룬 ‘블랙’(2005)으로 강한 잔상을 남긴 산제이 릴라 반살리 감독의 ‘발리우드’(인도 영화 산실인 봄베이와 할리우드를 합친 말) 영화다.

올해 극장가에 흥행 폭풍을 몰고 온 ‘세 얼간이’가 진화한 인도 영화의 전형을 보여준다면 ‘청원’은 다른 길을 걷는다. 발리우드 영화의 상징 같은 군무(群舞)는 등장하지 않는다. 오로지 이야기의 힘으로 승부를 건다.

반살리 감독은 “삶과 가깝지만 별로 이야기되지 않는 주제를 다루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전신마비 환자의 안락사라는 민감한 주제와 법정 드라마라는 딱딱한 소재를 감독은 철저하게 감정에 호소해 풀어 나간다.

지붕에서 비가 새는 탓에 밤새 이마에 떨어지는 빗방울을 맞으며 몸서리치는 이튼의 모습은 전신마비 장애인의 고통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가슴이 먹먹해지는 순간도 많지만 불편하지는 않다. 어느 순간에도 유머를 잃지 않는 이튼의 성격 덕이다. 침대에서 떨어져 목뼈가 부러질 위기에 처한 이튼은 소피아에게 “당신의 다리를 볼 좋은 기회였는데 천막처럼 긴 치마를 입었다.”며 농을 건다.

전신마비 환자 이튼 역을 맡은 리틱 로샨(오른쪽)은 역설적으로 발리우드 최고의 몸짱 배우이자 ‘댄싱 머신’이다. ‘인도의 ○○○’란 별명을 붙이기 좋아하는 현지에선 그를 ‘인도의 마이클 잭슨’으로 부른다. 장면 대부분에서 침대에 누워 있거나 휠체어에 의지하지만 표정만으로도 많은 이야기를 한다.

남편의 학대를 받으면서도 이튼을 위해 헌신하는 간호사 소피아 역은 아이시와라 라이(왼쪽)가 연기했다. 미스 월드(1994년) 출신인 라이는 인도 최초의 프랑스 칸 영화제 심사위원, 인도 최초의 미국 타임지 표지 모델로도 유명하다. 빼어난 외모는 조금 퇴색했지만 고혹적인 표정과 눈빛은 여전하다.

포르투갈 식민지였던 고야 지방에서 촬영된 장면들은 아름답다는 말 외에는 적당한 형용사를 찾기 어렵다. 특히 이튼이 법원에 출두했다가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바닷가에 들러 발끝에 물을 적시는 장면은 오래도록 기억에 남는다. 아무런 감각이 없는 이튼은 세상 모든 것을 가진 듯 황홀한 표정을 짓는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2011-11-04 20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