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모지에 2022 베이징동계올림픽 성화 밝힌다

불모지에 2022 베이징동계올림픽 성화 밝힌다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입력 2019-05-12 17:44
업데이트 2019-05-13 02: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특파원 생생리포트] 제철기업 서우강공장 2010년 역사속으로

100년 된 공장터, 공원 등 명소로 탈바꿈
직원 100여명, 보안요원·보수직 전환도
이미지 확대
중국 베이징 시민들이 12일 옛 공장지대에 들어선 2022년 베이징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 앞의 조형물 앞에서 사진을 찍고 있다.
중국 베이징 시민들이 12일 옛 공장지대에 들어선 2022년 베이징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 앞의 조형물 앞에서 사진을 찍고 있다.
1919년 세워진 중국 제철기업 서우강(首鋼)의 공장이 있던 베이징 시징산 지역 일대가 현재는 거대한 공원으로 탈바꿈해 2022년 동계올림픽을 준비 중이다. 서우강 공원으로 이름 붙여진 이 일대에는 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가 있으며 호텔, 박물관, 식당 및 일부 동계올림픽 종목 경기시설이 들어섰다.

올림픽 조직위원회 맞은편의 홀리데이인 호텔과 스타벅스는 거대한 용광로였던 서우강 박물관과 인공연못 등을 조망할 수 있는 명소로 베이징 시민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호텔과 스타벅스도 이전에는 공장 지대의 일부였다. 아직 개장하지 않은 서우강 박물관은 거대한 제철공장을 그대로 살린 것으로 밤이면 조명을 설치해 여러 상상력을 불러일으킨다.

오래된 군수공장 지대가 미술관, 화랑, 카페 등이 즐비한 예술거리로 탈바꿈한 798과 마찬가지로 시징산 일대도 도시의 종말과도 같은 폐허가 된 제철공장의 낯선 모습이 사진 찍기를 즐기는 젊은 세대를 불러모으고 있다. 서우강 공원을 찾은 한 퇴직 근로자는 12일 “1961년부터 2011년까지 여기에서 일했는데 예전 공장이 가동되던 때가 상상이 안 될 정도의 모습을 보니 말할 수 없는 기분이 든다”고 말했다.

서우강 공원에서는 동계올림픽 가운데 아이스하키, 스피드스케이팅, 피겨스케이팅, 컬링, 스키 점프 등의 종목이 개최된다. 아이스하키 경기장은 외관 건립이 거의 끝났으며, 서우강 공원 전체가 베이징 시민들에게 올림픽 열기를 일으키는 상징적 존재로 자리잡고 있다. 국가대표 선수들이 훈련하는 기지도 역시 서우강 공원에 있다. 베이징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하계올림픽과 동계올림픽을 모두 개최하는 도시다.

철강기업 서우강은 1978년 철강 생산량이 179만t으로 중국 10대 철강 회사 가운데 하나였으며 2012년 미 경제전문지 포천이 선정한 글로벌 500대 기업 순위에서 295위를 차지했다. 국유기업인 서우강은 2008년 베이징올림픽을 기회로 환경을 중시하는 국가 시책에 따라 베이징을 떠나 허베이성에 새로운 제철소를 건립하게 된다. 2010년 12월에 베이징 시징산에 있던 서우강의 마지막 용광로의 불꽃이 꺼졌다.

제철공장에서 일했던 서우강 직원 가운데 100여명은 동계올림픽 보안 및 서비스 요원, 아이스링크 유지 및 보수직 등으로 새롭게 직업을 바꿨다. 서우강 컬링경기장의 제빙작업을 하기 위해 파견된 캐나다인 한스는 신경보와의 인터뷰에서 “바깥은 굉장히 덥고 건조하기 때문에 실내 경기장의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무척 어려운데 현재 경기장이 너무 좋은 조건”이라며 “앞으로 중국에서도 많은 컬링 경기가 있을 것이고 제빙 수준이 점점 더 나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글 사진 베이징 윤창수 특파원 geo@seoul.co.kr
2019-05-13 18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